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장시작 소식] 2025년 1월 28일

by 파라크래프트 2025. 1. 28.

1월 23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65%↑ S&P500 -1.46%↓ 나스닥 -3.07%

 

 

 

 

시황요약

-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인공지능 모델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미국 빅테크의 급락을 가져옴

- 작년 12웜 말 출시된 모델에 600만 달러 미만으로 되었다고 하고, 언론은 이 내용을 의심하지만 인공지능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할 것이라고 보기 시작함. 따라서 반도체와 전력 인프라 수요에 부정적으로 적용 됨

- 앤비디아는 역사상 단일 종목 시총 최대 하락을 가져옴

- 로이터 여론조사 결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과주요 금속 소비국인 중국의 경제, 고착화된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분석가들이 2025년 구리 가격 전망치를 하향 조정
 벤치마크 구리 가격은 지난해 5월 톤당 11,100달러를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중앙은행의금리 인하에 대한 낙관론이 사라지고 중국의 단편적인 경기 부양 노력이 투자자들을 실망시킴. 작년 말 9,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서 연말에는 거의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
- 월요일 구리 가격은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제조업 지표 부진으로 수요 전망이 악화되고 중국 업체들이 설 연휴를 앞두고 매수 포지션을 줄이면서 하락. 중국의 1월 제조업 활동과 2024년 산업 기업의 이익에 대한 공식 공장 조사 결과 발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 1일 중국산 수입품에 10%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여 무역과 성장을 저해할 것이라고 위협하면서 부정적인 분위기 고조되었습니다.
-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1.49달러(2.00%) 하락한 배럴당 73.17달러에 거래를 마감.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3월 인도분도 전장보다 1.43달러(1.81%) 내려간 77.08달러에 마무리.
미국은 전일 군용기로 콜롬비아 불법 체류자를 콜롬비아에 돌려보내려고 했지만 착륙을 거부당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콜롬비아에 즉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하고, 일주일 후에는 50%로 인상 및 비자 제재도 단행할 것이라고 함. 콜롬비아도 처음에는 미국산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 부과로 대응했지만, 미국 정부와 협상 끝에 요구를 수용. 이에 미국은 약 9시간 만에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제재를 보류.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 러시아, 중국, 유럽연합(EU) 등에 관세 위협. 딥시크가 유발한 미국 기술주의 폭락도 유가에 하방 압력. 중국 AI 스타트업인 딥시크는 최근 내놓은 AI 챗봇이 낮은 비용으로도 오픈AI의 챗GPT에 필적하는 성능을 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시장의 관심을 촉발 중국의 경기 부진 우려.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보다 1.0 포인트 하락한 49.1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4개월 만에 위축국면으로 전환. 
- 천연가스 선물은 월요일에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로 인해 향후 몇 주 동안 난방 수요가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과 중국의 새로운 인공 지능 기술이 데이터 센터의 전력 생산에 필요한 가스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우려로 약 8% 하락.  2주 만의 최저치

-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주요 무역 파트너의 상품에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트레이더들이 포지션을 헤지하면서 시카고 상품거래소 옥수수와 대두 선물이 월요일 하락. 밀도 제한된 수요로 하락했지만, 추운 날씨로 인해 미국 곡물 벨트의 최대 15%가 죽을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하락폭이 제한적.

 

1월 28일 (화) 주요일정

 

경제지표

22:30 미국 12월 내구재수주

23:00 미국 11월 주택가격지수

00:00 미국 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

00:00 미국 1월 리치몬드연은 제조업지수

03:00 미국 7년물 국채 경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