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E15 2025년 3월 31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증시 하락 외 오늘의 뉴스 3월 28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1.69%↓ S&P500 1.97%↓ 나스닥 2.70%↓-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1.40bp 급락한 4.255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104.014로 전장보다 0.286포인트(0.274%) 하락 시황요약 뉴욕 증시 3대 주가지수 사흘 연속 하락, 나스닥 2.70% 급락 - 뉴욕 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사흘 연속 동반 하락했으며, 나스닥은 2.70% 급락하며 지난 10일(-4.00%)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하락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확대 - 여러 지표가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고물.. 2025. 3. 31. [연금계좌] 2025년 13주차 정리... PCE 부진, 소비심리도 최악.. 인플레이션 지속과 관세 확대의 영향 인플레이션 지표 상승세 지속 2월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8% 상승(1월 2.7% 대비 증가). 서비스·상품 가격 동반 증가로 인해 Fed의 목표치(2%)를 계속 상회. 소비자 물가 기대치도 급등: 1년 후 예상 인플레이션 5%(2022년 11월 이후 최고). 트럼프 정부의 관세 확대 정책자동차 관세: 4월 3일부터 수입차(세단, SUV 등) 및 부품에 25% 관세 부과. 미시건 자동차 협회는 "소비자 가격 상승과 일자리 감소 우려" 경고. 골드만삭스 분석: 차량 가격 최대 1.5만 달러 인상 가능성. 4월 2일 추가 관세 예정: 중국, EU, 캐나다 등 무역적자국 대상. 소비자 심리 악화 및 경제 전망 미시간 대학 소비자 심.. 2025. 3. 30. 2025년 3월 28일 자동차 관세 부과 외 오늘의 뉴스 3월 27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37%↓ S&P500 0.33%↓ 나스닥 0.53%↓-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3.10bp 상승한 4.3690%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104.300으로 전장보다 0.274포인트(0.262%) 하락 시황요약-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는 이틀 연속 동반 하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수입 자동차와 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밝히면서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이틀째 주가를 짓눌러. 자동차 관세 발표 이후에도 트럼프의 관세 압박은 지속- '매그니피센트7'은 방향이 엇갈려. 미국 정통 자동차업체들은 자동차 관세 압박으로 투심 꺾여. 비.. 2025. 3. 28.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27일 3월 26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31%↓ S&P500 1.12%↓ 나스닥 2.04%↓-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3.10bp 상승한 4.3380% - 달러화 : 엔화,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4.574로 전장보다 0.391포인트(0.375%) 상승 시황요약- 3대 주가지수는 4거래일 만에 처음으로 동반 하락. 트럼프 행정부가 구리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예상보다 빨리 부과할 수 있다는 외신보도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불거져.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열고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발표-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2월 내구재 수주는 전월 대비 27억달러(0.9%) 증가한 2천893억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1%↓)을 크게 상회.. 2025. 3. 27.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27일 2월 26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43%↓ S&P500 0.01%↑ 나스닥 0.26%↑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4.90bp 하락한 4.2490% - 달러화 : 엔화·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6.489로 전장보다 0.228포인트(0.215%) 상승 시황요약- 뉴욕증시는 AI(인공지능) 투자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할 엔비디아 실적 발표를 앞두고 기술주가 반등세를 보인 반면 전통적 우량주는 약세 전환해 혼조 마감- 다우지수는 2거래일 연속 상승세에서 하락 전환.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딛고 반등-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 정책에 본격 시동이 걸리자 위험선호 심리가 되살아나며 모처.. 2025. 2. 27. [장시작 소식] 2024년 12월 23일 12월 20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금요일밤)- 뉴욕증시 : 다우 1.18%↑ S&P500 1.09%↑ 나스닥 1.03%↑-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5.20bp 내린 4.5250% - 달러화 : 엔화와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564포인트(0.520%) 하락한 107.800 ◎ 시황요약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상승 마감. 연방준비제도가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11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월 대비 0.1%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 하회한 결과-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11월 PCE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한 점에 주목하며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2%)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긍정적 신호"라고 평가 - 엔.. 2024. 12. 23. [장시작 소식] 2024년 10월 31일 10월 30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22%↓ S&P500 0.33%↓ 나스닥 0.56%↓-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40bp 내린 4.268% - 달러화 : 엔화 및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233% 내린 104.067 ◎ 시황요약 -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하락. 미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가 시장 예상치에 못 미쳤고 실적 경계 지속. 미국 대선 후 조정가능성 등도 작용- 미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3분기 GDP 속보치(1차 발표치)는 전기대비 연율 환산 기준으로 2.8% 증가. 2분기 3.0%에서 둔화했고 전문가 전망치(3.0%)도 하회. 다만 '헤드라인' 성장률의 절대적인 수준이 여.. 2024. 10. 31. [장시작 소식] 2024년 10월 30일 10월 29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36%↓ S&P500 0.16%↑ 나스닥 0.78%↑-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60bp 내린 4.2720%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024% 오른 104.310 ◎ 시황요약 - 뉴욕증시는 혼조세 마감. 경제 지표는 엇갈렸으나 실적별 반응- 구글 모기업 알파벳 등 빅테크 실적 호조에 나스닥 지수는 장중 역대 최고치 2거래일 만에 경신. 종가 기준으로는 지난 7월 이후 3개월여 만에 최고치 기록- 미국 노동부의 구인·이직 보고서(JOLTs)에 따르면 9월 구인 건수는 744만3천 건으로, 전월(786만1천 건)보다 42만 건 줄어들며 202.. 2024. 10. 30. [장시작 소식] 2024년 9월 30일 9월 27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금요일밤)- 뉴욕증시 : 다우 0.33%↑ S&P500 0.13%↓ 나스닥 0.39%↓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거래일 오후 3시 기준보다 4.10bp 하락한 3.748%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 지수는 0.129% 하락한 100.411 ◎ 시황요약 - 뉴욕증시는 혼조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으로 삼는 물가지표가 예상을 밑돌았고 소비자심리지수도 개선됐지만, 투자자들은 고점 부담이 더 큰 듯 보합권에서 좁게 움직였음. 다우지수는 장 중 상승 폭을 42,628.32까지 늘리며 다시 한번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음- 미국 상무부는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2.2%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발표. 이는.. 2024. 9. 30.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