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ODEX28

[연금 계좌] 2025년 24주차 / 이스라엘 이란 충돌 또 다시 전쟁의 시작..?이스라엘과 이란이 또 다시 충돌하면서 큰 흔들림이 발생한 한 주였습니다.그러면서 유가가 최대 10% 이상 큰 폭으로 상승한 후 약간의 조정을 받았습니다. 나스닥도 하락폭을 조금은 키우며 마감했습니다. 달러/원 환율 차트는 크게 움직이진 않았구요.. 실시간 계좌 현황이번 주에도 약간의 변화를 주었습니다. 종목명평가손익손익률보유잔고매도가능평균단가현재가매입금액평가금액투자비중수수료TIGER 미국초단기(3개월이하)국?-3,350-0.271301309,5109,4851,236,3001,233,0502.07100KODEX 에너지화학-1,592,719-14.6491491411,90210,16010,878,1049,286,24018.23855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365,.. 2025. 6. 15.
[연금 계좌] 2025년 23주차 / 트럼프 머스크 갈등 / 테슬라 지난 한 주간 특징점은 머스크와 트럼프가 서로를 비난하며 테슬라가 급락을 하고, 우리시간 금요일 밤에 테슬라는 약간 반등하였습니다. $300을 하향 돌파하며 2분기의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하였습니다. 🧾 머스크–트럼프 연대기📌 2024년: 협력의 시작일론 머스크는 2024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를 공개 지지하며, 그의 재선에 기여했습니다. 트럼프는 이에 대한 보답으로 머스크를 정부 효율성 부서(DOGE)의 공동 책임자로 임명했습니다. 📌 2025년 5월: 갈등의 서막트럼프 대통령은 대규모 세금 및 지출 법안인 'One Big Beautiful Bill Act'를 추진했습니다. 머스크는 이 법안이 연방 적자를 증가시키고 전기차 보조금을 축소한다며 비판했습니다. 📌 2025년 5월 28일: 머스크의.. 2025. 6. 7.
[연금계좌] 2025년 22주차 / 트럼프 관세 / TACO "Trump Always Chickens Out"의 약자로, 월가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위협을 하다가 결국 물러서는 패턴을 빗댄 신조어 긁힌 트럼프가 또 시작을 했습니다.다행히 우리나라 시장이 마감된 이후 미국 시장에서 벌어진 일인데.. 주말에 특별한 이벤트가 없다면, 월요일 우리 시장에 반영이 될 것 같습니다. 실시간 계좌 잔고 종목명평가손익손익률보유잔고매도가능평균단가현재가매입금액평가금액투자비중TIGER 미국초단기(3개월이하)국?1,9000.2870709,5429,570667,950669,9001.11KODEX 에너지화학-2,141,099-19.6891491411,9029,56010,878,1048,737,84018.12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502,7605.0983283211,860.. 2025. 6. 1.
[연금 계좌] 2025년 21주차 / 트럼프 관세 / EU 50% 2025년 5월 트럼프 대통령의 유럽 관세 정책이 우리시간 금요일 밤에 발표트럼프 대통령의 유럽 관세 정책 주요 내용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25년 6월 1일부터 유럽연합(EU)산 수입품에 대해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적으로 경고트럼프는 EU가 미국을 무역적으로 착취하고 있다며, 강력한 무역장벽, 부가가치세(VAT), 과도한 기업 처벌, 비금전적 무역장벽, 통화 조작, 미국 기업에 대한 불공정 소송 등을 이유로..트럼프는 "EU와의 무역에서 매년 2,500억 달러(약 342조 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한다"며, 협상에 진전이 없기 때문에 고율 관세 부과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해당 관세는 미국 내에서 생산 또는 제조된 제품에는 미적용트럼프는 애플 등 글로벌 기업에도 미국 내 생산을 압박하며.. 2025. 5. 25.
[연금 계좌] 2025년 20주차 / 달러 환율 / 미국 신용 등급 강등 주요 이슈지난 한 주간은 달러 환율에 대한 협의가 있었다는 뉴스가 뜨면서 원-달러 환율이 크게 흔들렸던 여파가 조금은 남아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장이 마감된 금요일 밤에 무디스 발 미국 신용 등급 강등이 있었습니다.신용 등급에 관래서 첫 강등 평가가 아니기에 그나마 조금은 다행이지만 월요일 우리 시장에서 그리고 미국 선물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아야할 것 같습니다.관련 내용은 다른 포스팅에서 정리했기에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세요 [재테크이야기/관심도서 및 영상] - 달러 환율 하락 예상과 미국 주식 / 지수 / ETF 투자 달러 환율 하락 예상과 미국 주식 / 지수 / ETF 투자2025년 5월, 미국-한국 환율 협의 소식 한눈에 보기2025년 5월 18일 기준 최신 뉴스 정리핵심 요약:미국과 .. 2025. 5. 18.
[연금 계좌] 2025년 19주차 / 대만달러 / 환율 지난 1주일 간의 이슈미국발 관세 정책 여파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대만달러 절상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락주요 원자재(니켈, 전기동, 아연) 가격 급락세 지속1. 주식시장 동향미국 증시: 관세 정책과 실적 호조의 엇갈림최근 미국 주식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 영향으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임. 4월 초 관세율 공개 직후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10.5%, 11.4% 급락하며 뉴욕 증시 시가총액이 이틀 만에 약 6조 6,000억 달러 증발. 연초 대비 MSCI 미국 지수 수익률은 -3.9%로 집계되며, 트럼프의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지속됨 5월 들어서는 2분기 실적 호조가 시장을 안정시키는 모습. S&P500 기업의 81%가 실적 전망을 초과 달성하면서, 시장의 펀더멘털 .. 2025. 5. 11.
[연금 계좌] 2025년 18주차 / 중국 관세 인하 / 달러 환율 2025년 5월 첫째 주 글로벌 이슈 정리1. 미국 관세 정책과 주요국(중국 등) 대응미국, 전 세계 수입품에 10% 기본관세 부과: 2025년 4월 5일부터 도입, 4월 9일부터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추가 차등관세(최대 25%)는 90일간 유예. 중국에만 125% 상호관세 + 20% 펜타닐 관세(총 145%) 적용 중국의 맞대응: 2025년 4월 10일부터 미국산 모든 상품에 34% 보복관세 부과, 미국 기업 27개사 블랙리스트 추가 등 강경 대응. 5월 13일까지 도착하는 상품은 예외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미국의 관세 정책은 중국뿐 아니라 주요국에 압박으로 작용, 각국은 시장 다변화·내수 확대 등 대응책 마련2. 달러 인덱스(DXY) 최근 움직임과 분석달러 인덱스 약세 전환: 최근 DXY는 .. 2025. 5. 4.
[연금계좌] 2025년 17주차 / 미국 시장 상승 / 테슬라 급등 2025년 4월 미국·한국 주식시장 동향 및 남아있는 이슈는?2025년 4월 미국과 한국 주식시장은 다양한 글로벌 이슈와 정책 변화에 따라 뚜렷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증시의 상승과 하락 원인, 그리고 앞으로 주목해야 할 이슈들을 한눈에 정리하면서 시작합니다. 미국 주식시장 동향 및 상승 원인4일 연속 상승세 기록, 나스닥 1.26%, S&P500 0.74%, 다우지수 0.05% 상승 마감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 관세 강화 신호에도 시장은 "최악은 지났다"는 인식 확산테슬라 등 빅테크 기업 실적 호조가 투자심리 개선에 기여연준의 긴축 기조, 무역정책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히 부담 요인 한국 주식시장 동향 및 하락 원인미국의 관세 정책 여파로 코스피 2,500선 하회, 약세.. 2025. 4. 27.
[연금계좌] 2025년 16주차 / 트럼프 / 파월 / 관세 2025년 4월 트럼프·파월 발언 및 글로벌 관세 정책 대응 요약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 및 정책 동향 트럼프 대통령은 4월 11일 발표한 관세 정책에 대해 “면제가 아니라 관세 범주 이동”이라며, 스마트폰 관세 면제설을 강하게 부인함. 이번 조치는 무역수단이 아니라 미국의 안보와 산업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무기임을 강조중국에 대해 최대 245%의 고율 관세를 예고하며, 불공정 무역 관행과 무역 불균형 해소에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중. 관세 정책은 상대국의 반응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롤링 방식’으로, 예측 불가능성을 협상 레버리지로 활용.자동차 관세는 일시 유예했으나, 반도체 등 핵심 부품에 대해서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국가안보 조사도 병행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국가들이 미국과 중국.. 2025. 4.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