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닥15 달러 환율 하락 예상과 미국 주식 / 지수 / ETF 투자 2025년 5월, 미국-한국 환율 협의 소식 한눈에 보기2025년 5월 18일 기준 최신 뉴스 정리핵심 요약:미국과 한국이 5월 초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환율 정책에 대한 실무 협의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외환시장은 크게 출렁였고, 원/달러 환율이 한때 30원 가까이 급락하는 등 변동성이 증가했습니다..환율 협의, 무슨 일이 있었나?협의 시작 배경지난 5월 5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가 열린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한국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 담당자들이 만나 환율 정책을 논의했다고 합니다.. 이번 만남은 지난 4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환율 정책을 별도로 논의하기로 한 뒤 첫 공식 실무 협의였습니다.(참석자: 한국 최지영 국제경제관리.. 2025. 5. 18. 2025년 4월 24일 / 뉴욕증시 3대 지수, 이틀 연속 랠리 / 오늘의 뉴스 4월 23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1.07%↑ S&P500 1.67%↑ 나스닥 2.50%↑-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20bp 하락한 4.3880% - 달러화 : 엔화와 유로화에 강세. 달러 지수는 99.818로 전장보다 0.847% 급등 시황요약뉴욕증시 3대 지수, 이틀 연속 랠리…대중 관세 인하 기대감에 위험자산 선호 -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미국 정부가 대중(對中) 관세를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소식에 힘입어 이틀 연속 동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 매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양국이 합의에 도달할 것이고,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도 결국 상당히 낮아질 것”.. 2025. 4. 24. 2025년 4월 22일 / 트럼프- 금리 인하 압박, 파월 해임 / 오늘의 뉴스 4월 21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2.48%↓ S&P500 2.36%↓ 나스닥 2.55%↓-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7.70bp 상승한 4.405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98.356으로 전장대비 1.026포인트(1.032%) 급락 시황요약미국 증시 급락, 3대 지수 2% 이상 하락…트럼프-파월 갈등과 매크로 이슈 총정리 - 미국 증시가 3대 주가지수 모두 2% 넘게 급락하며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습니다. 다우존스와 나스닥은 4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압박, 주요 기술주 약세, 금리 및 환율 변동 등 다양한 악재가 한꺼번에 시장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 2025. 4. 22. [연금계좌] 4월 9일 수요일 실시간 잔고 지난 금요일부터 수량을 태우면서 이제 계좌 예수금이 10%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4일간 대략 1,200만원 정도를 매수하였습니다. 차근차근 매수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KODEX삼성그룹 / TIGER인터넷TOP10 두 상품은 대략 150~200만원까지 한, 미, 일 리츠 상품인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 / TIGER미국MSCI리츠(합성H) / KODEX일본부동산리츠(H) 세 상품은 최대 1,000만원까지(일본 리츠는 과거에 1,000만원을 넘겼기에 수익 영역에 오면 초과분은 청산 예정) 미국 지수 상품은.. 연초 보초병을 너무 빨리 넣는 바람에 생각보다 크게 물렸네요각 150만원과 한국판 SCHD인 ACE미국배당다우존스 는 2백만원 가장 큰 비중으로 가장 큰 손실을 기록 중인 두종목 KODEX에너.. 2025. 4. 9. 2025년 4월 7일 경기침체 우려 증시 하락 외 오늘의 뉴스 4월 4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금요일밤)- 뉴욕증시 : 다우 5.5%↓ S&P500 5.97%↓ 나스닥 5.82%↓-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6.90bp 떨어진 3.987%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3.037로 0.917포인트(0.898%) 급등 시황요약뉴욕 증시, 경기침체 우려로 연이틀 폭락 - 뉴욕 증시는 경기침체 우려와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되며 이틀 연속 급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미·중 무역전쟁 우려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시장에 투매를 유발했습니다.대형 기술주 '매그니피센트 7'(M7) 급락- 대형 기술주 그룹인 '매그니피센트 7'(M7)은 급락세.. 2025. 4. 7. [연금계좌] 2025년 14주차 복기.. 미국 관세 시행 중국 보복 관세 2025년 4월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로 글로벌 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이는 중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시장 영향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세 정책 개요기본 관세율: 4월 5일 00:01(ET)부터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국가별 차등 관세: 57개 대상국(중국 34%, EU 20%, 일본 24% 등)은 4월 9일부터 11~50% 적용. 예외 항목: 의약품, 반도체, 에너지 관련 제품 등 Annex II 목록 제외.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준수 제품은 기존 25% 관세 유지. 2. 시장 충격주식 시장주요 지표: S&P 500 9% 급락(역대 최대 폭), 나스닥 4% 하락(베어마킹 근접). 섹터별 영향:기술주: 애플(-14%), .. 2025. 4. 6. 2025년 3월 31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증시 하락 외 오늘의 뉴스 3월 28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1.69%↓ S&P500 1.97%↓ 나스닥 2.70%↓-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1.40bp 급락한 4.255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104.014로 전장보다 0.286포인트(0.274%) 하락 시황요약 뉴욕 증시 3대 주가지수 사흘 연속 하락, 나스닥 2.70% 급락 - 뉴욕 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사흘 연속 동반 하락했으며, 나스닥은 2.70% 급락하며 지난 10일(-4.00%)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하락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확대 - 여러 지표가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고물.. 2025. 3. 31. [연금계좌] 2025년 12주차 복기.. FOMC 회의록2025년 3월 미연준(FOMC)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예상과 부합하는 결과였으며, 연준은 경제 상황을 신중히 관찰하며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지했습니다.인플레이션 전망2025년 연말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2.7%로 상향 조정하며,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초과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경제 성장률미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1%에서 1.7%로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양적 긴축(QT)연준은 양적 긴축 속도를 완화하여 채권 시장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시장 변동성을 줄이려는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연금 계좌 실시간 잔고우선.. 지수를 제외한 상품 중 백만원 미만인.. 상품과 테슬라액티브밸류체인을 조금씩 추매하였습니다... 2025. 3. 23. [연금 계좌] 2025년 8주차 정리... 오늘은 2025년 2월 23일 나스닥(NASDAQ)의 하락 우리시간으로 토요일.. 미국 시간으로 금요일 미국 시장은 크게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언제 설정해놓은 추세선인지는 기억이 안나지만.. 추세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지키면서 올라가는 모습이네요하락한 이유에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서비스 PMI 지수 급격한 하락제조업 지수 상승미국 정부의 비용 절감중국의 더욱 강력한 코로나 재점화 미국 시장 장이 시작한 뒤로 반등이 거의 없이 원웨이로 하락한 모습입니다.이에 따라 연금 계좌에 보유하고 있는 미국 시장 ETF도 월요일 2~3% 정도 하락을 할 것으로 예상이 되네요 아직 뉴스를 검색해보지는 않았는데, 자금이 미국을 벗어나서 중국 시장으로 들어갔다는 소식이 조금 들리네요.작년 하반기에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한 흐.. 2025. 2. 23.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