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주일 간의 이슈
- 미국발 관세 정책 여파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 대만달러 절상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락
- 주요 원자재(니켈, 전기동, 아연) 가격 급락세 지속
1. 주식시장 동향
미국 증시: 관세 정책과 실적 호조의 엇갈림
최근 미국 주식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 영향으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임. 4월 초 관세율 공개 직후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10.5%, 11.4% 급락하며 뉴욕 증시 시가총액이 이틀 만에 약 6조 6,000억 달러 증발. 연초 대비 MSCI 미국 지수 수익률은 -3.9%로 집계되며, 트럼프의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지속됨
5월 들어서는 2분기 실적 호조가 시장을 안정시키는 모습. S&P500 기업의 81%가 실적 전망을 초과 달성하면서, 시장의 펀더멘털 우려가 완화. IT·통신주를 중심으로 반등세가 나타났으며, AI 칩 규제 완화와 반도체주 강세, 양자 컴퓨팅 분야의 성장 기대감도 부각. 단, 단기 변동성은 여전하므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전략이 요구됨.
2. 환율 시장 이슈
대만달러 절상, 원화 강세로 이어지다
5월 첫째 주, 대만달러 절상이 아시아 외환시장에 큰 영향을 미침. 대만달러 강세가 원화와 위안화 절상으로 번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1,480원대에서 1,370원대까지 급락하는 급변동. 특히 NDF 시장에서 대규모 원화 매수가 발생하며 국내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
환율 급변동은 수출입 기업뿐 아니라 해외 결제, 달러 예금, 해외직구 등 실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며, 단기적으로 해외 결제 비용이 낮아지고, 달러 투자 상품의 변동성이 커짐.
3. 원자재 시장 동향
주요 원자재 가격, 4월 이후 급락세 지속
4월부터 이어진 글로벌 원자재 가격 급락이 5월에도 지속. 니켈은 4월 한 달간 6.4% 하락, 전기동은 6.5% 하락, 아연은 8.4% 급락하며 건설·제조업계에 충격.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투자심리 위축과 수요 감소로 이어진 것이 주요 배경.
원자재 가격 하락은 국내 건설자재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향후 경기 반등 여부에 따라 추가 변동성이 예상.
실시간 계좌 현황
그럼 현재 실시간 계좌 현황입니다. 들어온 배당금은 다시 재투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계좌 수익율은 -6% 수준입니다.
종목명 | 평가손익 | 손익률 | 보유잔고 | 매도가능 | 평균단가 | 현재가 | 매입금액 | 평가금액 | 투자비중 |
KODEX 삼성그룹 | -14,292 | -0.79 | 220 | 220 | 8,194 | 8,130 | 1,802,772 | 1,788,600 | 2.94 |
KODEX 에너지화학 | -2,403,249 | -22.98 | 868 | 868 | 12,048 | 9,280 | 10,457,494 | 8,055,040 | 17.04 |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 398,770 | 4.04 | 832 | 832 | 11,860 | 12,340 | 9,867,440 | 10,266,880 | 16.08 |
KODEX WTI원유선물(H) | 8,120 | 1.12 | 56 | 56 | 12,829 | 12,975 | 718,440 | 726,600 | 1.17 |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 362,278 | 3.78 | 2,315 | 2,315 | 4,138 | 4,295 | 9,579,807 | 9,942,925 | 15.61 |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 -264,080 | -2.32 | 999 | 999 | 11,408 | 11,145 | 11,396,955 | 11,133,855 | 18.57 |
TIGER 인터넷TOP10 | -24,925 | -1.49 | 452 | 452 | 3,700 | 3,645 | 1,672,375 | 1,647,540 | 2.73 |
KODEX 미국S&P500 | -17,041 | -1.24 | 75 | 75 | 18,361 | 18,135 | 1,377,076 | 1,360,125 | 2.24 |
KODEX 미국나스닥100 | -5,840 | -0.42 | 73 | 73 | 18,869 | 18,790 | 1,377,420 | 1,371,670 | 2.24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141,415 | -5.22 | 220 | 220 | 12,322 | 11,680 | 2,710,855 | 2,569,600 | 4.42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 -1,596,132 | -15.35 | 671 | 671 | 15,493 | 13,115 | 10,395,487 | 8,800,165 | 16.94 |
그리고 큰 의미 없는 수준의 약간의 추가 매수만 진행을 했습니다.
TIGER 인터넷TOP10
금요일 급락을 해서 소량씩 받쳐두었지만 몇 주 체결되지는 않았습니다.
뉴스를 얼핏 찾아보니 네이버는 좋은 실적을 보였지만 카카오가 역성장을 한 것 같네요
미국 지수 관련은..
현재 1차 목표 저항선까지는 올라온 것으로 보여서.. S&P와 NASDAQ은 적극적인 매수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배당다우존스는 반등 속도가 조금은 느리네요.. 평단가가 높지만 배당을 목표로 사기 시작한 것이어서 눌릴 때마다 더 매수하도록 하겠습니다.
테슬라..
의외로 버티는 힘이 좋네요. 한 번 더 눌리면 많이 담으려고 했는데, 아직 횡보 중이어서 조금씩만 받쳐서 추가 매수 하는 중입니다.
끝으로..
상반기 안에 총 운영금액과 누적 수익이 각각 7천만원과 2천만원이 되길 바랬는데,
달성이 쉽지는 않을 것 같지만..
계속해서 관리를 잘 해보겠습니다.
연금 계좌라서 일반 주식 종목, ETN, 레버리지, 인버스 등을 거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국내 상장된 ETF 중심의 거래 내역을 기록합니다. 모든 매매의 판단과 거래의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거래 당사자인 본인에게 있습니다.
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광고 클릭과 함께 큰 힘이 됩니다.
'재테크이야기 > 주식과 파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젠텍 코로나 재확산 - 백신·진단시약·방역 관련주 급등 (4) | 2025.05.19 |
---|---|
[연금 계좌] 2025년 20주차 / 달러 환율 / 미국 신용 등급 강등 (3) | 2025.05.18 |
[연금 계좌] 2025년 18주차 / 중국 관세 인하 / 달러 환율 (1) | 2025.05.04 |
[연금계좌] 2025년 17주차 / 미국 시장 상승 / 테슬라 급등 (1) | 2025.04.27 |
[연금계좌] 2025년 16주차 / 트럼프 / 파월 / 관세 (0) | 2025.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