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시간으로 목요일 새벽 FOMC 금리 발표가 있습니다.
우리가 사전 대응할 수 있는건 따라서 수요일인 내일 까지 입니다.
우선, 저는 국내 주식 / 코인 / 해외 주식 계좌는 그대로 유지 예정입니다.
기업 존속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아니라면,
나중에 추가 매수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최근에는 소액이라도 신용 대출만 줄이는 중인데요
나누어 받았던 대출 중 우선 5% 이상 부터 줄이고 있습니다.
이번 FOMC 금리 발표로 단기 변동성은 끝을 보이겠지만,
미국 금리 인상은 아직 끝이 아니기에..
혹여나 수익중인 종목은 정리를 하고 현금 비중을 늘리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신규 매수는 자제해야할 것 같으니
일정 참고하시어 힘든 시기 잘 견디시길 바랍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33778
- 9월 19일 월요일
▲N/A 일본 '경로의 날'로 인한 금융시장 휴장
▲N/A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장례식'으로 인한 금융시장 휴장
▲N/A캐나다'엘리자베스 2세 서거에 대한 영연방 애도 기간'으로 인한 금융시장 휴장
▲0710호주 조나단 컨스 호주중앙은행(RBA) 이사 연설
▲1800 EU 7월건설생산
▲1900독일9월분데스방크 월간보고서
▲2200독일 클라우디아 부크 분데스방크 부총재 연설
▲2300미국9월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 주택가격지수
▲0100(20일)미국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뉴욕 경제 클럽 연설
▲0200독일 부르크하르트 발츠 분데스방크 이사 연설
- 9월 20일 화요일
▲N/A 미국 국제연합(UN) 총회 일반토의 개회
▲N/A 중국 인민은행 대출우대금리(LPR) 발표
▲0830일본8월소비자물가지수(CPI)
▲1030호주9월RBA 통화정책회의 의사록
▲1500독일8월생산자물가지수(PPI)
▲1700 EU 7월유로존 경상수지
▲2130 캐나다 8월CPI
▲2130미국8월신규주택착공·주택착공허가
▲2155미국 09/17 존슨 레드북 소매판매지수
▲0530(21일)미국 09/16 미국석유협회(API) 주간 원유재고
- 9월 21일 수요일
▲N/A 일본 일본중앙은행(BOJ) 통화정책회의
▲N/AEU유럽중앙은행(ECB) 비통화정책회의
▲N/A프랑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세정책개혁보고서
▲1100호주 미셸 블록 RBA 총재보 연설
▲1500영국8월공공부문 순차입/순상환
▲2000미국 09/16 모기지은행협회(MBA) 주간 모기지 신청건수
▲2300미국8월기존주택판매
▲2330미국 09/16 에너지정보청(EIA) 주간 원유재고
▲0300(22일)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0300미국 FOMC 경제전망
▲0300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기준금리 결정
- 9월 22일 목요일
▲N/A 호주 '엘리자베스 2세 서거에 대한 영연방 애도 기간'으로 인한 금융시장 휴장
▲N/A 일본 기준금리 결정
▲N/A 대만 기준금리 결정
▲N/A필리핀기준금리 결정
▲N/AEUECB 일반위원회 회의
▲N/AEU유럽시스템리스크위원회(ESRB) 일반위원회 회의
▲N/A 뉴질랜드 무역수지
▲1400일본8월철강생산
▲1430일본8월도쿄/전국 백화점 판매
▲1700 EUECB 경제보고서
▲2000영국 BOE 통화정책회의
▲2000영국 기준금리 결정
▲2000영국 Q3산업동향
▲2130미국 09/17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2130미국 주간곡물수출
▲2130미국 Q2대내외증권거래
▲2300 EU 9월FCCI 소비자신뢰지수
▲2300미국8월경기선행지수
▲2330미국 09/16 EIA 주간 천연가스재고
▲2330호주7월콘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
▲0000(23일)미국 실바나 텐레이로 BOE 통화정책위원회 위원 방문 연설
▲0000미국9월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제조업활동지수
▲0530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할인창구대출
▲0530미국 외국중앙은행 미 국채 보유량
- 9월 23일 금요일
▲N/A 일본 '추분의 날'로 인한 금융시장 휴장
▲0800호주9월S&P 글로벌 합성 PMI
▲1630독일9월S&P 글로벌 합성 PMI
▲1700 EU 9월S&P 글로벌 유로존 합성 PMI
▲1730영국9월S&P 글로벌/CIPS 합성 PMI
▲2245미국9월S&P 글로벌 합성 PMI
▲0030(24일)독일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
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news.einfomax.co.kr)
728x90
반응형
'재테크이야기 > 주식과 파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 지난 금요일(22. 11. 4) 이후 주말 사이 벌어진 일 (0) | 2022.11.06 |
---|---|
[일정] 이번주 주요 경기 지표 (10월 3일 ~ 10월 8일) (0) | 2022.10.02 |
[지표] 2022년 9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0) | 2022.09.13 |
[주식/ETF] 2022년 9월을 시작하며 (0) | 2022.09.04 |
[시황/계좌] 파월의 잭슨홀 - 단기 급락 불가피 해보이는.. (0) | 2022.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