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PI15

PPI 호재·오라클 실적 서프라이즈 뉴욕 증시 상승 마감 / 오늘의 뉴스 뉴욕 증시는 3대 주요 지수 모두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물가 안도감이 형성된 가운데, 오라클(Oracle)의 깜짝 실적이 투자심리를 더욱 끌어올렸습니다.오라클 주가는 실적 발표 후 13.3% 급등했습니다. 반면, 보잉(Boeing)은 인도 여객기 추락 사고의 영향으로 4.79% 하락했습니다.거대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중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엔비디아(NVIDIA), 애플(Apple), 아마존(Amazon)은 모두 상승했습니다. 반면, 테슬라(Tesla)는 최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로 2% 이상 하락했습니다. 6월 12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2.. 2025. 6. 13.
뉴욕증시 하락 마감: 중동 지정학 리스크와 CPI 둔화, 기술주 중심 차익실현 / 오늘의 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는 중동 지역의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동반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이라크 주재 대사관의 비필수 인력 철수를 발표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되었습니다. 앞서 이란은 미국과의 핵 협상이 결렬될 경우, 중동 내 미군 기지를 공격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기술주 중심의 매도세도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매그니피센트7’ 종목 중 마이크로소프트와 테슬라는 강보합세를 유지했지만, 아마존과 애플은 각각 2% 안팎 하락하며 시장 전반에 부담을 더했습니다. 6월 11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1.10p(0.00%)↓ S&P500 0.27%↓ 나스닥 0.50%↓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6.10bp 내린 4.41.. 2025. 6. 12.
2025년 5월 15일 / 주식시장 혼조, 금리 상승세 / 오늘의 뉴스 5월 14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21%↓ S&P500 0.10%↑ 나스닥 0.72%↑-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3.00bp 상승한 4.529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1.115로 전장 대비 0.165포인트(0.163%) 상승 시황요약미·중 무역협상 낙관론 지속…주식시장 혼조, 금리 상승세 -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에서 형성된 낙관론이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날 뉴욕 증시는 보합권에서 완만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 중국 상무부는 미국 기업에 부과한 일부 비관세 보복 조치를 유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최근 미·중 무역협상에서 합의된 사항을 이행하는 조치입니다. 다만, 주요 .. 2025. 5. 15.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4일 3월 13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1.30%↓ S&P 1.39%↓ 나스닥 1.96%↓-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3.90bp 하락한 4.276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3.868로 전장보다 0.289포인트(0.279%) 상승    시황요약-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다시 하락. 2월 생산자물가가 예상을 밑돈 둔화세를 나타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 불안이 심화하며 투매 흐름- 미국 노동부는 2월 PPI가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다고 발표. 지난 12월의 0.5% 상승, 1월의 0.6% 상승과 비교해 상승 흐름이 크게 꺾여. 전년 동월 대비.. 2025. 3. 14.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14일 2월 13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77%↑ S&P500 1.04%↑ 나스닥 1.50%↑-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1.30bp 급락한 4.5250% - 달러화 : 엔화와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107.073으로 전장보다 0.80% 급락   시황요약- 뉴욕증시 3대 지수는 미국의 상호관세 협상 가능성에 동반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계획이 발표된 가운데 관세 부과 시점이 4월 1일로 미뤄질 수 있다는 보도에 시장이 전반적으로 리스크온 전환-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오는 4월 1일까지 검토를 마칠 것"이라고만 밝히며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음- 업종별로 보면 모든 업종이 강세. 임의소.. 2025. 2. 14.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13일 2월 12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50%↓ S&P500 0.27%↓ 나스닥 0.03%↑-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0.10bp 오른 4.6380%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107.937로 전장보다 0.011% 상승    시황요약- 뉴욕증시 3대 지수는 큰 변동성을 나타낸 후 혼조세 마감.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자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약화로 하락 출발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기대가 커지며 저가 매수로 낙폭 축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증언에서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 반복 - 업종별로 필수소비재와 통신.. 2025. 2. 13.
[장시작 소식] 2025년 1월 15일 1월 14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52%↑ S&P500 0.11%↑ 나스닥 0.23%↓-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70bp 내린 4.7880%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562% 내린 109.241    ◎ 시황요약- 미국 도매 물가가 예상치를 밑돌았음에도 장 중 등락을 반복하던 뉴욕증시는 방향이 엇갈린 채 장을 마쳐. 전반적으로 우량주가 강세를 보이고 기술주는 약세. PPI가 둔화했으나 일시적일 것이라는 의구심에 더해 15일 나오는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까지 봐야한다는경계심도 있음- 물가를 둘러싼 불안 심리로 거대 기술 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 2025. 1. 15.
[장시작 소식] 2025년 1월 14일 1월 13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86%↑ S&P500 0.16%↑ 나스닥 0.38%↓-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3.10bp 오른 4.805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186% 오른 109.858    ◎ 시황요약  - 뉴욕증시는 저가 매수세가 증시를 지탱하면서 혼조 마감. 고금리 환경은 통상 성장주에 불리한 환경으로 여겨져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투매 흐름은 개장 후에도 한동안 지속. 하지만 단기 낙폭 과대라는 인식이 강해진 듯-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2.17% 오른 테슬라를 제외하면 모두 하락세로 마감. 애플과 엔비디아, 메타플랫폼스는1% 이상 내렸고 .. 2025. 1. 14.
[장시작 소식] 2024년 12월 13일 12월 12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뉴욕증시 : 다우 0.53%↓ S&P500 0.54%↓ 나스닥 0.66%↓-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4.90bp 뛴 4.323% - 달러화 : 엔화·유로화에 강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307% 오른 107.023   ◎ 시황요약  - 뉴욕증시는 3대 주가지수가 모두 하락 마감. 신규 실업보험 청구건수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 가운데 미국 도매 물가가 2년래 가장 가파른 상승률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불안감 커져-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M7)'은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 테슬라와 알파벳은 1% 이상 하락했고 엔비디아도 구글이 인공지능(AI) 서비스 '제미나이'에 자체 개발한.. 2024. 12.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