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주식과 파생

[연금 계좌] 2025년 18주차 / 중국 관세 인하 / 달러 환율

by 파라크래프트 2025. 5. 4.

 

 

 

2025년 5월 첫째 주 글로벌 이슈 정리

1. 미국 관세 정책과 주요국(중국 등) 대응

  • 미국, 전 세계 수입품에 10% 기본관세 부과: 2025년 4월 5일부터 도입, 4월 9일부터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추가 차등관세(최대 25%)는 90일간 유예.
    중국에만 125% 상호관세 + 20% 펜타닐 관세(총 145%) 적용 
  • 중국의 맞대응: 2025년 4월 10일부터 미국산 모든 상품에 34% 보복관세 부과, 미국 기업 27개사 블랙리스트 추가 등 강경 대응. 5월 13일까지 도착하는 상품은 예외
  • 글로벌 무역 긴장 고조: 미국의 관세 정책은 중국뿐 아니라 주요국에 압박으로 작용, 각국은 시장 다변화·내수 확대 등 대응책 마련

2. 달러 인덱스(DXY) 최근 움직임과 분석

  • 달러 인덱스 약세 전환: 최근 DXY는 2023~2024년 저점을 하락 돌파, 2022년 러-우 전쟁 직후 수준으로 회귀
  • 원인: 미국 4월 고용 쇼크(예상치 하회)와 실업률 상승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부각, 달러 약세 압력. 최근 미국 자산 전반에 대한 신뢰 저하로 '트리플 매도(주식·채권·달러 동반 하락)' 현상까지 출현 
  • 관세 정책은 단기적 안도감만 제공: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유예에도 달러 신뢰 회복에는 역부족

3. 중국·원화 환율의 연동성 및 최근 동향

  • 원/달러 환율 급락: 2025년 5월 2일 1,405.3원으로 마감, 전일 대비 15.7원 하락. 이는 작년 비상계엄 사태 이후 최저치 
  • 주요 배경: 미국 고용지표 부진 → 달러 약세 → 원화 강세.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 원화 등 신흥국 통화 강세 요인
  • 중국 위안화와의 상관성: 원화와 위안화는 동조화 경향이 높음. 미중 무역갈등 심화 시 위안화 약세가 원화에도 약세 압력, 반대로 달러 약세 구간에서는 원화·위안화 모두 강세 흐름
  • 전망: 미국과 한국의 금리 정책, 미중 무역전쟁 전개, 중국 경기 회복 여부가 원/달러 및 위안/달러 환율에 결정적 영향 

4. 트레이딩 전략 시사점

  • 관세·무역 이슈: 미국·중국 관세전 확대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관련 업종(수출주·소재주) 주목 필요.
  • 달러 인덱스: DXY 하락세 지속 시 신흥국 자산 선호 강화, 환율 변동성 활용한 트레이딩 기회.
  • 환율: 원/달러 급락 구간에서 수출주 조정, 내수·수입주 반등 가능성. 위안화 동향도 반드시 체크.

 

주 후반에 중국이 미국에 대한 관세를 비공식적으로 낮췄다는 소식
- 2025년 4월 말부터 미국과 중국은 비공식 협상을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일부 보복관세를 철회하거나 완화하는 방안을 논의.
-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은 125%의 고율 관세가 적용된 미국산 제품 중 일부를 면세 대상으로 선정해 관련 기업들에게 조용히 안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는 공식 발표 없이 비공식적·선별적으로 관세를 낮춰주는 조치로 해석.
- 이러한 움직임은 미중 무역전쟁의 긴장을 완화하고, 5월 중 공식 협상 타결을 위한 사전 포석이라는 평가
- 다만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는 미국과 관세 인하 협의가 없었다고 부인

요약)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관세를 낮추는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공식적인 발표는 없는 상황

 

관련 뉴스

 

미국과 “타협해선 안 된다”던 중국, 관세피해 우려에 실리 모드로

미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강경한 입장을 보여온 중국이 유연한 대응 전략으로 선회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대화는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내면서, 미국산 제품에 부과했던 관세 면제 조처를

www.hani.co.kr

 

 

깜짝! 원/달러 환율 급락, 왜? 앞으로는? (2025년 5월 분석)

오늘은 많은 분들이 놀라셨을 원/달러 환율 급락 소식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풀어보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25.05.02. 알파스퀘어 달러차트 일중 추이 2025년 5월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

alphasquare.co.kr

 

 

2025년 4월 3주차 - 신뢰를 잃어가는 미국 달러 | 스위치플로우

최근 미국 달러는 큰 폭의 매도세에 직면하며 지속적으로 약세 흐름을 보이고 있어요.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고율 관세 정책과 이를 번복하는 모습들이 시장에 ‘신뢰

switchflow.biz

 

“중국, 미국 제품 면세 목록 만들어”…협상 사전 포석인가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미국산 제품에 일종의 ‘화이트 리스트’를 만들어 면세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최근 미국산 반도체에 이어 에탄에 대해서도 125%의 관

marketin.edaily.co.kr

 


 

 

실시간 계좌 현황

지난 한 주간 약간의 계좌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수익 실현 내역

 

이번 주 미국 시장이 꾸준한 반등을 주면서 S&P500과 나스닥100이 금요일 수익까지 올라와서 비중을 대략 40% 줄여서 매수 기준 130만원대 정도까지 비중을 낮춰두었습니다.

그리고 유가가 다시 $60을 깨고 내려가서 다시 조금씩 매수를 시작했습니다.

실시간 계좌 잔고 현황

 

 

그래서 예수금을 850만원 (약 12%대) 까지 다시 확보해두었습니다.

KODEX 에너지화학 이 종목이 얼른 원금을 회복해줘야 할텐데.. 차익 거래가 더딘 이유 중에 한 가지 입니다.

 

종목명 평가손익 손익률 보유잔고 매도가능 평균단가 현재가 매입금액 평가금액 투자비중
KODEX 삼성그룹 -2,947 -0.17 207 207 8,199 8,185 1,697,132 1,694,295 2.8
KODEX 에너지화학 -2,333,729 -22.42 863 863 12,063 9,360 10,410,614 8,077,680 17.19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H) 365,490 3.7 832 832 11,860 12,300 9,867,440 10,233,600 16.29
KODEX WTI원유선물(H) -3,325 -0.66 39 39 12,939 12,855 504,640 501,345 0.83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397,003 4.13 2,315 2,315 4,138 4,310 9,579,807 9,977,650 15.82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114,450 -1.01 998 998 11,409 11,295 11,385,880 11,272,410 18.8
TIGER 인터넷TOP10 28,140 1.77 430 430 3,704 3,770 1,592,870 1,621,100 2.63
KODEX 미국S&P500 -20,056 -1.52 72 72 18,382 18,105 1,323,526 1,303,560 2.19
KODEX 미국나스닥100 -20,250 -1.53 70 70 18,888 18,600 1,322,160 1,302,000 2.18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116,100 -4.52 208 208 12,362 11,805 2,571,380 2,455,440 4.25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1,869,712 -18.14 664 664 15,520 12,705 10,305,042 8,436,120 17.02

 

 

 

KODEX 삼성그룹

원-달러 환율이 떨어질 것을 기다리며, 한국 주식시장이 상승하면 수혜를 좀 볼거라 생각하고 아직까지 청산할 생각은 없습니다. 큰 문제가 없다면 8,500원 이상은 가겠죠

KODEX 삼성그룹 일봉 차트

 

 

 

KODEX 에너지화학

아직까지 상승 전환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오래 걸릴 것 같은데.. 최소 평단가를 11.500원 이하로 내려놓고 싶은데 비중이 작지 않아서 좀 어려운 상황입니다.

물려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KODEX 에너지화학 일봉 차트

 

 

 

KODEX WTI원유선물(H)

지난번 13,790원 정도에서 전량 수익 청산 하고 다시 매수하기 시작해서 현재 평단가는 12,939원 입니다.

CRUDE OIL 2025년 6월 물 기준 금요일 미국 장 마감가 기준이 $58.38입니다.

다른 뉴스가 없다면 월요일 우리 시장에서 조금 더 하락할텐데.. 내릴떄 마다 추가 매수해서 평균 단가를 계속 낮춰보도록 하겠습니다.

KODEX WTI원유선물(H) 일봉 차트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드디어 평균 단가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최근 달러 약세 - 엔화 강세라서 환햇지 상품인게 아쉽지만.. 본전 이상이 되면 천만원 정도 남기는 비중 10% 정도를 줄일 예정입니다. 다음 우리장 개시일 한 30틱만 올라주면 좋겠네요

KODEX 일본부동산리츠(H) 일봉 차트

 

 

 

KODEX 미국S&P500

미국 시장이 매우 강한 한 주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환호성을 지르기에 좀 이른거 같아서 늦여름까지는 많이 눌릴 때만 추가 매수를 하고 급등을 하면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 예정입니다.

KODEX 미국S&P500 일봉 차트

 

 

 

KODEX 미국나스닥100

미국 시장이 매우 강한 한 주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아직 환호성을 지르기에 좀 이른거 같아서 늦여름까지는 많이 눌릴 때만 추가 매수를 하고 급등을 하면 비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 예정입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 일봉 차트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미국 지수 종목들 중에 유일하게 평단가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배당성장 종목이기에 천천히 모아가려 했는데, 요즘 절세계좌 과세부터 성장성에 대한 의구심 등 뉴스가 많습니다. 다만 기술주에 비해 등락이 크지 않은 지수였기에 당분간은 하락시마다 추가매수 하도록 하겠습니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일봉 차트

 

 

그 외 종목들은 스스로 복기하거나 리마인드 할만한 내용이 없어서 따로 기재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전 주말 포스팅들을 참고하세요

 

 

월 말을 지나며 드디어 배당금

이번 달은 지수나 주요 종목들이 배당을하는 1, 4, 7, 10월 중 하나라 꽤 많은 종목에서 배당금이 들어왔습니다.

그렇게 월 배당금도 최대치인 31만원을 넘겼습니다.

세부 내역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2025년 4월 배당금

 

 

 

끝으로

차익에 따른 수익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오랫만에 배당금이 많이 들어왔네요.

배당금 1차 목표인 월 20만원은 근접하거나 넘겨가고 있습니다.

배당금 2차 목표는 월 50만원을 넘기는 것인데..

이것은 차익거래와 월 입금액을 통해 확보된 금액으로 만들어가 볼 예정입니다.

3차 목표는 월 100만원으로 조금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언젠가 되겠죠

차익 거래 수익 내역

 

배당금 수익 내역

 

날짜 차익거래 배당주 수익금 합
청산손익 누적손익 배당금 누적
22.12       33,227         33,227 10,080 10,080         43,307
23.01               -         33,227 5,925 16,005         49,232
23.02       33,454         66,681   16,005         82,686
23.03      109,329       176,010   16,005        192,015
23.04       31,530       207,540 36,490 52,495        260,035
23.05      213,082       420,622   52,495        473,117
23.06    2,571,943     2,992,565 880 53,375      3,045,940
23.07    2,244,954     5,237,519 13,050 66,425      5,303,944
23.08    1,184,776     6,422,295 12,780 79,205      6,501,500
23.09               -     6,422,295 14,040 93,245      6,515,540
23.10               -     6,422,295 18,785 112,030      6,534,325
23.11       65,527     6,487,822 17,360 129,390      6,617,212
23.12      303,017     6,790,839 26,040 155,430      6,946,269
24.01      128,589     6,919,428 58,650 214,080      7,133,508
24.02      424,155     7,343,583 61,800 275,880      7,619,463
24.03               -     7,343,583 76,730 352,610      7,696,193
24.04       81,483     7,425,066 115,040 467,650      7,892,716
24.05      560,369     7,985,435 90,640 558,290      8,543,725
24.06      181,803     8,167,238 102,860 661,150      8,828,388
24.07    1,618,289     9,785,527 103,060 764,210    10,549,737
24.08      287,607    10,073,134 98,000 862,210    10,935,344
24.09      342,648    10,415,782 109,355 971,565    11,387,347
24.10      957,300    11,373,082 111,560 1,083,125    12,456,207
24.11    2,909,704    14,282,786 111,506 1,194,631    15,477,417
24.12    1,815,594    16,098,380 142,483 1,337,114    17,435,494
25.01 -    265,677    15,832,703 119,640 1,456,754    17,289,457
25.02      500,549    16,333,252 182,231 1,638,985    17,972,237
25.03       19,068    16,352,320 172,555 1,811,540    18,163,860
25.04 44,140 16,396,460 317,139 2,128,679    18,525,139

 

 

연금 계좌라서 일반 주식 종목, ETN, 레버리지, 인버스 등을 거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국내 상장된 ETF 중심의 거래 내역을 기록합니다. 모든 매매의 판단과 거래의 수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거래 당사자인 본인에게 있습니다.

 
포스팅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광고 클릭과 함께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