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8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62%↓ S&P500 1.07%↓ 나스닥 1.71%↓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2.50bp 하락한 4.2820%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103.228로 전장보다 0.169% 하락

시황요약
- 뉴욕증시 3대 지수는 3일 만에 동반 하락.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을 하루 앞두고 위험회피 심리가 우세. '연준 풋(Fed Put)' 의구심이 커진 영향. 우크라이나 전쟁의 휴전 협상에서 미국과 러시아가 부분 합의에 도달했다는 일부 호재에도 관세 불확실성 여전해 증시 부담
- 엔비디아 3.43%, 테슬라 5.34% 하락. 알파벳 2.20% 하락.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와 의료건강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 통신서비스는 2% 이상, 기술과 임의소비재, 필수소비재는 1% 이상 하락
- 국채 가격은 상승. 장 초반 미국의 지난 달 수입 물가가 예상과 달리 크게 올랐다는 소식에 채권 시장이 약세로 반응했으나, 이후 뉴욕 증시가 내림세를 이어가자 흐름 반전
- 달러화 가치는 사흘째 하락세. 독일 부채 제한 완화 합의에 유로화 강세 지속
- 미국의 2월 소매 판매가 전월 대비 소폭 증가하면서 지난 1월의 급감 충격에서 벗어남. 다만 여전히 시장 예상치를 밑돌고 있어 소비심리가 식고 있다는 점 또한 시사
- 미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부분적 휴전에 합의하면서 단계적 휴전을 추진하기로 합의함
- 독일 연방 하원이 5천억유로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추진할 수 있는 '부채 제한(Debt brake)' 완화방안을 통과시켰음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폭스 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은행과 신용카드의 데이터를 거론하며 "아주 좋은 기본 데이터를 보고 있다"고 발언했으며 '경기 침체가 없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보장할 수 없다"면서 어리석은 질문으로 치부하기도 함. 베센트 장관은 오는 4월 2일 각 국가는 상호관세를 부과받는다며 "일부 국가의 경우 4월 2일 관세가 낮을 수 있다"면서 "15% 정도의 국가가 관세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이고 철강과 알루미늄의 경우 관세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
- 국제유가는 트럼프-푸틴, 우크라전 부분 휴전 합의 등에 하락하는 모습. 다만, 양국의 부분 휴전 합의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이 유의미하게 늘어나는 데는 시간이 더 걸릴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임. 美 에너지정보청(EIA)의 데이터에 따르면, 러시아는 2024년에 하루 약 92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한 것으로 전해짐. 이는 2022년 기록한 하루 980만 배럴과 2016년의 역대 최고치 하루 1,060만 배럴에 비해 줄어든 규모임.
반면,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다시 대규모로 공습하면서 중동의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된 점은 국제유가의 낙폭을 제한. 또한, 독일 연방 하원이 5,000억유로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추진할 수 있는 '부채 제한' 완화방안을 통과시키면서 대규모 부양책의 길이 열린 점과 중국의 1~2월 소매판매 증가율이 높아진점도 원유 매수 심리를 자극했음
- 금 가격은 경제, 관세 불확실성 속에 중동 분쟁 재점화, 확대 가능성이 안전자산 수요를 부추겼고 달러 약세로 역대 최고수준으로 오름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속에 부과할 관세 수준에 대한 투기꾼들의 베팅이 늘어나면서 구리 가격은 최고치를 기록
- 천연가스 선물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 플랜트로의 기록적인 가스 흐름, 일일 생산량 감소, 다음 주 예상보다 시원한 날씨와 높은 수요에 대한 전망으로 약 1% 상승
- 밀 선물은 미국 작황에 대한 우려로 약세를 보였으며 옥수수 선물은 트레이더들이 미국 농무부의 재배 의향 데이트를 기다리면서 하락함
3월 19일 (수) 주요일정
경제지표
11:30 일본 BOJ 통화정책성명서
12:00 일본 기준금리 결정
13:30 일본 산업생산
15:30 일본 중앙은행 기자회견
19:00 유로존 2월 CPI 상승률
22:30 미국 EIA 원유재고
03:00 미국 기준금리 결정
03:30 미국 FOMC 기자회견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24일 (0) | 2025.03.24 |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20일 (0) | 2025.03.20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8일 (0) | 2025.03.18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7일 (0) | 2025.03.17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4일 (0) | 2025.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