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8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1.69%↓ S&P500 1.97%↓ 나스닥 2.70%↓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1.40bp 급락한 4.255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104.014로 전장보다 0.286포인트(0.274%) 하락

시황요약
뉴욕 증시 3대 주가지수 사흘 연속 하락, 나스닥 2.70% 급락
- 뉴욕 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사흘 연속 동반 하락했으며, 나스닥은 2.70% 급락하며 지난 10일(-4.00%)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하락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확대
- 여러 지표가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저성장·고물가) 위험을 시사하면서 투자자들이 앞다퉈 매도에 나섰습니다. 미국 소비심리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실제 지출도 둔화한 반면,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채·통화·상품시장 동향
- 국채: 모든 구간에서 가격이 크게 상승하며 수익률이 하락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개인소비지출(PCE) 데이터가 스태그플레이션 뉘앙스를 풍기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고조된 영향입니다.
- 달러: 달러인덱스(DXY)가 스태그플레이션 조짐으로 104선까지 밀리며 이틀 연속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정책 영향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와 휴전 협상이 지연될 경우 러시아산 원유에 2차 관세를 검토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4월 2일부터 무역 상대국에 상호 관세를 도입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보복 조치가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재가속과 경기 침체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상품시장 변동성
- 국제유가: 미국의 물가상승률과 소비심리 악화로 수요 감소 전망이 우세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구리: 글로벌 경제 성장 전망 악화와 관세 부과 가능성에 따라 위험 선호 심리가 약화되며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 천연가스: 액화천연가스 수출 플랜트 물량 유입과 생산량 감소로 3% 상승하며 1주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농산물: 옥수수는 재배 증가 기대감으로 일시적 하락 후 반등했으나, 밀은 수출 부진과 기상 악화로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뉴욕 증시의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이며, 투자자들은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와 정책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3월 31일 (월) 주요일정
경제지표
10:30 중국 3월 PMI
15:00 독일 2월 소매판매
17:00 독일 3월 노르트라인 CPI상승률
21:00 독일 3월 CPI
22:45 미국 3월 시카고연은 PMI
23:30 미국 3월 댈러스연은 제조업지수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2일 상호 관세 발표 관련 오늘의 뉴스 (2) | 2025.04.02 |
---|---|
2025년 4월 1일 상호 관세 발표 전 증시 상황 외 오늘의 뉴스 (0) | 2025.04.01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27일 (1) | 2025.03.27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26일 (2) | 2025.03.26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25일 (1) | 2025.03.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