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2025년 4월 1일 상호 관세 발표 전 증시 상황 외 오늘의 뉴스

by 파라크래프트 2025. 4. 1.

3월 31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1.00%↑ S&P500 0.55%↑ 나스닥 0.14%↓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90bp 내린 4.246%

- 달러화 : 엔화에 강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4.204로 전장보다 0.190포인트(0.183%) 상승

 

 

 

시황요약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발표 앞두고 혼조세 마감…기술주 매도 vs 우량주 반등

 

- 3월 마지막 거래일 혼조세
뉴욕증시는 3월 31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4월 2일)를 이틀 앞두고 기술주 매도와 우량주 반등이 맞부딪히며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1.00% 상승한 42,001.76, S&P500지수는 0.55% 오른 5,611.85를 기록했으나, 나스닥지수는 0.14% 하락한 17,299.29를 기록했다. 단기 급락 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기술적 반등이 나타났다.

백악관의 관세 강경 입장

 

-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EU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등 불공정 무역 사례에 대한 상호주의 조치"를 재확인하며 "모든 국가에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로즈가든에서 4월 2일 관세 세부 내용을 직접 발표할 예정이다.

시장 영향 요인

- 국채·통화: 국채는 보합권, 달러인덱스(DXY)는 104선 유지.
- 원유: 트럼프의 러시아산 원유 2차 관세 발언(25~50%)으로 브렌트유 1.2% 상승.
- 금속: 구리는 관세 우려로 2주 최저치, 중국 PMI 호조로 완충.
- 농산물: 미국 밀 재배량 감소 전망으로 선물 가격 상승.

경제 지표

 

- 시카고 PMI는 47.6으로 4개월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뉴욕연은 존 윌리엄스 총재는 "인플레이션 안정세지만 상방위험 존재"라고 평가했다.

주요 뉴스 

 

- 국제유가는 美, 러시아 관세 압박 등에 상승하는 모습. 트럼프는 지난 주말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휴전 협상결렬이) 러시아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면 난 러시아에서 나오는 모든 원유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그것은 당신이 러시아에서 원유를 구매한다면 미국에서 사업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며 "모든 원유에 25~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2차 관세는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국가에도 이른바 '세컨더리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임. UBS의 조반니 스타우노보 분석가는 "(트럼프의) 러시아와 이란의 원유에 대한 2차 관세 위협은 원유 시장 참가자들이 주시하는 요인"이라며 "당장은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으나앞으로 공급 위험이 커질 수는 있다"고 언급했음.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상승하는 등 뉴욕증시에서 위험 선호 심리가 살아난 점도국제유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함

- 구리 가격은 이번주 예정된 미국의 새로운 관세에 대한 우려로 2주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지만 주요 금속 소비국인 중국의 공장 지표 호조로 손실이 완충되었음

- 미국 농무부가 농부들이 2025년에 예상했던 것보다 적은 밀을 재배할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밀 선물이 상승

- 옥수수 선물은 재배량은 무역 추정치보다 높게 나왔지만 재고량은 예상과 같은 수준으로 추정되어 어느 정도 지지력을 더했음

 

 

4월 1일 (화) 주요일정

경제지표

10:45 중국 3월 차이신 제조업 PMI

12:30 호주 4월 기준금리 결정

16:55 독일 3월 제조업 PMI

17:30 영국 3월 제조업 PMI

18:00 유로존 3월 CPI상승률

21:55 미국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22:45 미국 3월 제조업 PMI

23:00 미국 3월 ISM 제조업 PMI, 2월 JOLTS 구인인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