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원-달러 급락 / 환율 / 원화 강세 / 달러 약세

by 파라크래프트 2025. 5. 5.

 
 
 
 

2025년 5월, 한국 원화 환율 급변 원인 분석

 
 

달러/원 환율 일봉 차트

 
 
2025년 5월 들어 한국 원화 환율이 이례적인 폭으로 출렁이며 향후 투자에 큰 요소로 자리 잡을 것 같습니다. 단일 요인이 아닌 국내외 복합 변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보여서 현재 환율 급등락을 유발한 주요 원인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미국 경제 지표와 금리 정책 변화

2025년 4월 미국의 고용보고서가 시장 예측보다 부진하게 발표되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이는 달러 약세를 유발해 상대적으로 원화 강세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환율이 단기적으로 큰 폭 하락했습니다.
또한 미국과 한국 간의 금리 차도 핵심 변수입니다. 만약 미국이 금리를 빠르게 인하하면 원화 강세(환율 하락), 반대로 고금리를 지속하면 **원화 약세(환율 상승)**가 나타나는 구조입니다.
 

2. 미·중 무역 갈등 및 미국의 관세 정책 강화

2025년 들어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교역국에 관세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한국의 대미 수출이 6.8% 감소하는 등의 타격이 현실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무역 불확실성을 키우며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미·중 간 무역전쟁 재점화 가능성 역시 투자심리를 위축시키며 원화 불안정을 가중시키는 요인입니다.
 

3. 국내 정치 및 경제의 불확실성

한국 내부적으로도 정치적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정국 불안, 경제 수장 공백, 1분기 GDP 역성장, 제조업 PMI 하락 등의 지표는 국내 경기 불확실성을 부각하며 환율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신정부 출범을 앞둔 상황에서도 정치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는다는 점이 추가적인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글로벌 금융시장 변수

달러 인덱스, 미국 국채 금리, 위안화 환율 등 글로벌 주요 금융지표의 변동도 원화 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현재 원화 환율은 하루 변동 폭이 30원 이상을 기록하며 1,380~1,475원 사이에서 출렁이고 있어 투자자 경계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5. 국내외 경제 지표 및 무역수지 영향

4월 기준 무역수지 흑자 확대인플레이션 안정 등 긍정적인 신호도 있지만, 제조업 경기 둔화대미 수출 감소가 여전히 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요약

  • 미국 금리 인하 기대 및 달러 약세
  • 미·중 무역 및 관세 갈등
  • 국내 정치·경제의 불확실성
  •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 실물경제 부진과 수출 감소

향후에도 미국의 금리 정책과 무역 협상 결과, 국내 정치 안정 여부에 따라 환율 변동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개인 및 기업 투자자는 환율 리스크에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주식 또는 관련 ETF에 투자할 때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은 바로 환율입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큰 수익을 안겨주었던 것도 달러/원 환율이 크게 뛰어서이기에 당분간 종목별 급락이 나오지 않으면, 환율 하락이 진정될 때까지 조금 지켜보려 합니다.
 
 
 
 
ETF 투자 관련해서는 지난 주말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재테크이야기/주식과 파생] - [연금 계좌] 2025년 18주 차 / 중국 관세 인하 / 달러 환율

[연금 계좌] 2025년 18주차 / 중국 관세 인하 / 달러 환율

2025년 5월 첫째 주 글로벌 이슈 정리1. 미국 관세 정책과 주요국(중국 등) 대응미국, 전 세계 수입품에 10% 기본관세 부과: 2025년 4월 5일부터 도입, 4월 9일부터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한 추가

paracraft.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