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8 [연금 계좌] 2025년 20주차 / 달러 환율 / 미국 신용 등급 강등 주요 이슈지난 한 주간은 달러 환율에 대한 협의가 있었다는 뉴스가 뜨면서 원-달러 환율이 크게 흔들렸던 여파가 조금은 남아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장이 마감된 금요일 밤에 무디스 발 미국 신용 등급 강등이 있었습니다.신용 등급에 관래서 첫 강등 평가가 아니기에 그나마 조금은 다행이지만 월요일 우리 시장에서 그리고 미국 선물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보아야할 것 같습니다.관련 내용은 다른 포스팅에서 정리했기에 아래 링크들을 참고하세요 [재테크이야기/관심도서 및 영상] - 달러 환율 하락 예상과 미국 주식 / 지수 / ETF 투자 달러 환율 하락 예상과 미국 주식 / 지수 / ETF 투자2025년 5월, 미국-한국 환율 협의 소식 한눈에 보기2025년 5월 18일 기준 최신 뉴스 정리핵심 요약:미국과 .. 2025. 5. 18. 달러 환율 하락 예상과 미국 주식 / 지수 / ETF 투자 2025년 5월, 미국-한국 환율 협의 소식 한눈에 보기2025년 5월 18일 기준 최신 뉴스 정리핵심 요약:미국과 한국이 5월 초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환율 정책에 대한 실무 협의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외환시장은 크게 출렁였고, 원/달러 환율이 한때 30원 가까이 급락하는 등 변동성이 증가했습니다..환율 협의, 무슨 일이 있었나?협의 시작 배경지난 5월 5일,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가 열린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한국 기획재정부와 미국 재무부 담당자들이 만나 환율 정책을 논의했다고 합니다.. 이번 만남은 지난 4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환율 정책을 별도로 논의하기로 한 뒤 첫 공식 실무 협의였습니다.(참석자: 한국 최지영 국제경제관리.. 2025. 5. 18. [연금 계좌] 2025년 19주차 / 대만달러 / 환율 지난 1주일 간의 이슈미국발 관세 정책 여파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대만달러 절상에 따른 원/달러 환율 급락주요 원자재(니켈, 전기동, 아연) 가격 급락세 지속1. 주식시장 동향미국 증시: 관세 정책과 실적 호조의 엇갈림최근 미국 주식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 영향으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임. 4월 초 관세율 공개 직후 S&P500과 나스닥 지수는 각각 10.5%, 11.4% 급락하며 뉴욕 증시 시가총액이 이틀 만에 약 6조 6,000억 달러 증발. 연초 대비 MSCI 미국 지수 수익률은 -3.9%로 집계되며, 트럼프의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지속됨 5월 들어서는 2분기 실적 호조가 시장을 안정시키는 모습. S&P500 기업의 81%가 실적 전망을 초과 달성하면서, 시장의 펀더멘털 .. 2025. 5. 11. [연금계좌] 2025년 16주차 / 트럼프 / 파월 / 관세 2025년 4월 트럼프·파월 발언 및 글로벌 관세 정책 대응 요약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 및 정책 동향 트럼프 대통령은 4월 11일 발표한 관세 정책에 대해 “면제가 아니라 관세 범주 이동”이라며, 스마트폰 관세 면제설을 강하게 부인함. 이번 조치는 무역수단이 아니라 미국의 안보와 산업을 지키기 위한 전략적 무기임을 강조중국에 대해 최대 245%의 고율 관세를 예고하며, 불공정 무역 관행과 무역 불균형 해소에 강경한 입장을 보이는 중. 관세 정책은 상대국의 반응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하는 ‘롤링 방식’으로, 예측 불가능성을 협상 레버리지로 활용.자동차 관세는 일시 유예했으나, 반도체 등 핵심 부품에 대해서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국가안보 조사도 병행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국가들이 미국과 중국.. 2025. 4. 20. [연금계좌] 2025년 14주차 복기.. 미국 관세 시행 중국 보복 관세 2025년 4월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로 글로벌 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이는 중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시장 영향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관세 정책 개요기본 관세율: 4월 5일 00:01(ET)부터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 부과. 국가별 차등 관세: 57개 대상국(중국 34%, EU 20%, 일본 24% 등)은 4월 9일부터 11~50% 적용. 예외 항목: 의약품, 반도체, 에너지 관련 제품 등 Annex II 목록 제외.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준수 제품은 기존 25% 관세 유지. 2. 시장 충격주식 시장주요 지표: S&P 500 9% 급락(역대 최대 폭), 나스닥 4% 하락(베어마킹 근접). 섹터별 영향:기술주: 애플(-14%), .. 2025. 4. 6. [연금계좌] 2025년 13주차 정리... PCE 부진, 소비심리도 최악.. 인플레이션 지속과 관세 확대의 영향 인플레이션 지표 상승세 지속 2월 근원 PCE(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8% 상승(1월 2.7% 대비 증가). 서비스·상품 가격 동반 증가로 인해 Fed의 목표치(2%)를 계속 상회. 소비자 물가 기대치도 급등: 1년 후 예상 인플레이션 5%(2022년 11월 이후 최고). 트럼프 정부의 관세 확대 정책자동차 관세: 4월 3일부터 수입차(세단, SUV 등) 및 부품에 25% 관세 부과. 미시건 자동차 협회는 "소비자 가격 상승과 일자리 감소 우려" 경고. 골드만삭스 분석: 차량 가격 최대 1.5만 달러 인상 가능성. 4월 2일 추가 관세 예정: 중국, EU, 캐나다 등 무역적자국 대상. 소비자 심리 악화 및 경제 전망 미시간 대학 소비자 심.. 2025. 3. 30. [연금 계좌] 2025년 6주차... 오늘은 2025년 2월 9일 연금 계좌라서 일반 주식 종목, ETN, 레버리지, 인버스 등을 거래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국내 상장된 ETF 중심의 거래 내역을 기록합니다 매일 매일 변동성에 한 치 앞을 예상할 수 없는 날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트럼프2.0 시대에 들어와서 달러 지수도 변동성이 커지고 있네요 매우 소극적으로 시장에 대응을 하면서 리스크를 줄이는 방향을 최우선으로 잡고 있습니다. 실시간 계좌 현황 우선, 현재 실시간 잔고 현황입니다. 현금 비중은 현재 대략 계좌으 20% 정도 조금 아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KODEX 삼성그룹의 비중을 조금 줄였습니다.아래 차트처럼 지금의 흐름이 나쁘지는 않습니다만..급락이 오면 다시 비중을 늘려보는 것으로 하고 계좌 10% 정도 수준으로 비중을 줄였습니다. 2월 들어서 .. 2025. 2. 9. [연금 계좌] 2024년 50주차... 오늘은 2024년 12월 15일 개인연금 거래 내역으로 일반 주식 종목이나 레버리지 인버스 거래가 불가능한 계좌입니다. 연간 계좌 10% 정도의 수익 청산을 목표로 편안하게 운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 현재 보유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KODEX 삼성그룹KODEX 에너지화학TIGR 미국MSCI리츠(합성H)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KODEX 일본부동산리츠(H)TIGER 조선TOP10 현재 실시간 계좌 잔고 현황 입니다.총 손익의 손해 금액이 꽤 많이 줄어들고 한 주를 마감하였습니다.삼성그룹과 조선TOP10이 기대대로 수익으로 돌아선 부분, 그리고 에너지화학 상품이 다행히 -20% 이하로 내려와주었습니다. 에너지화학은 현재 비중이 꽤 되는 편이기에 추가 매수를 하지 않고 흐름이 변경되는 것을 기달는 중입니다.현재 흐름.. 2024. 12.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