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5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71%↑ S&P500 0.39%↑ 나스닥 0.19%↑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9.10bp 내린 4.4210%
- 달러화 : 엔화 및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107.616으로 전장보다 0.320포인트(0.296%) 하락
시황요약
-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 관세 우려 완화와 저가 매수 강화
뉴욕증시 3대 지수는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의 실적 실망에도 불구하고 일제히 상승. 이는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저가 매수세가 강화된 결과로 분석
- 주요 주식 및 업종 동향
알파벳 A주는 7.29%, C주는 6.94% 급락했으며, AMD도 6.27% 하락했고 엔비디아는 5.21% 상승함.
임의소비재와 통신서비스는 각각 1.59%, 2.79% 하락했지만, 금융, 의료건강, 부동산, 기술, 유틸리티 업종은 1% 이상 상승
- 국 채 및 통화 시장
국채 가격은 상승하며 장기물이 급등해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짐. 이는 미 재무부가 국채 발행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는 신호로 해석됨
- 달러화는 이틀 연속 하락했으며, 엔화는 일본의 실질임금 상승과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입어 강세를 유지하고 있음
- 5일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월 민간 고용은 전달보다 18만3천명 증가했음. 수정된 지난해 12월 증가폭(12만2천→17만6천명)보다 많으며 시장의 전망치도 웃돈 수준. 시장 예상치는 15만명 증가로 나타났음. 세부적으로 제조업이 1만3천명 급감, 건설은 3천명 증가했음. 천연자원·광산은 4천명 증가. 서비스 부문은 19만명 급증. 금융이 1만3천명, 전문·비즈니스 서비스가 1만4천명, 교육·건강 서비스는 2만명, 레저·호텔업은 5만4천명 등으로 집계됐음
- 5일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1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2.8을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작년 12월의 54.0에서 1.2 포인트 하락한 수준. 시장 예상치 54.3도 밑돌았음. 1월 서비스업 수치는 전월치와 예상치에 모두 못 미친 것. 다만 여전히 50선 위를 유지하며 확장 국면. ISM은 "서비스업 PMI가 48.6을 웃돌면 미국 경제 전반이 확장 국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이를 고려하면 1월 수치는 미국 경제가 56개월 연속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음. ISM은 1월 서비스업이 농업과 숙박 및 음식 서비스, 금융 및 보험, 보건 및 사회복지 등 14개 산업의 성장에 힘입었다고 분석
- 국제유가는 美 원유재고 급증 등에 하락하는 모습. 美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 달 31일 기준으로 전주보다 원유재고가 866만배럴이 증가했다고 밝힘. 이는 시장예상치 260만배럴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며, 직전 달 증가치인 346만배럴보다도 많은 수치임. 휘발유 재고도 전주대비 223만배럴 증가하며 시장전망치를 상회했음. 뉴욕 어게인캐피털의 존 킬더프 파트너는 "정유업체들은 지금 당장 원유에 대한 수요가 없다"면서"정유업체들 은 휘발유에 대한 수요 부진을 고려해 유지ㆍ보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
다만, 미국의 이란 제재는 국제유가의하락폭을 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재무부에 대(對)이란 최대 경제 제재를 부과하는 한편 기존 제재 위반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각서(memorandum)에 서명했음. 페퍼톤스의 리서치 전략가인 아마드 아시리는 "이란 제재가 다시 이뤄지는 데 따른 공급 압박은 OPEC+ 생산국들의 예상보다 느린 공급 조정 속 국제유가 상승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고 밝힘
- 금 가격이 저항선 2,800달러를 뚫고 사상 처음 2,900달러선까지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관세 줄다리기'가 팽팽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무역질서 혼란 우려가 안전자산 수요를 강화, 달러 약세도 금 값을 지지하고 있음
- 천연가스 선물은 수요일 액화 천연가스 수출 플랜트로의 가스 유입량 증가와 다음 주 예상보다 추운 날씨와 난방 수요 증가에 대한 전망으로 약 3% 상승
- 아르헨티나의 작황이 개선되면서 곡물 및 대두 선물이 수개월만에 최고치에서 반락함
2월 6일 (목) 주요일정
경제지표
19:00 유로존 12월 소매판매
21:00 영국 2월 기준금리 결정
22:30 미국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23:15 영국 베일리 영란은행총재 연설
00:00 캐나다 1월 Ivey PMI
00:30 미국 EIA 천연가스 재고
04:30 미국 윌러 FOMC위원 연설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7일 (0) | 2025.02.07 |
---|---|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5일 (1) | 2025.02.05 |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4일 (1) | 2025.02.04 |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3일 (1) | 2025.02.03 |
[장시작 소식] 2025년 1월 28일 (0) | 2025.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