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일 발표된 상호 관세 부과 내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된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본 관세율: 모든 수입품에 대해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
- 국가별 추가 관세율:
중국: 34%
유럽연합(EU): 20%
일본: 24%
한국: 25%
인도: 26%
베트남: 46%
캄보디아: 49%
대만: 32% 등
정책의 목적
- 미국 제조업 부흥 및 무역 적자 해소.
"상호주의" 원칙에 기반한 정책으로,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 수준으로 설정.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통해 미국 경제를 재건하고, 외국 의존도를 줄이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주식 시장 및 경제적 영향
이번 관세 정책 발표는 글로벌 경제와 주식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주식 시장 반응
- 미국 주식 시장:
S&P 500 선물 지수는 1.6%, 나스닥 선물 지수는 2.4%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반영.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최근 한 달간 약 7.4% 하락했으며, 소형주 중심의 Russell 2000 지수는 약 4.38% 하락.
- 국제 주식 시장:
일본 니케이(Nikkei) 지수는 발표 직후 약 3% 하락하며 최근 8개월 내 최저치를 기록.
2. 경제적 우려
- 인플레이션 상승: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물가가 급등할 가능성이 높으며, 연간 인플레이션이 최대 4%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
- 경기 침체 위험: Barclays 분석에 따르면,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올해 경기 침체에 빠질 확률이 높아졌으며, 실업률도 증가할 가능성이 큼.
- 기업 수익성 악화:
Goldman Sachs는 관세율이 5% 증가할 때마다 S&P 500 기업의 주당 순이익(EPS)이 약 1~2% 감소할 것으로 추정.
- 무역 불확실성 증가: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 결정을 연기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경제 활동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3. 안전 자산 선호
- 투자자들은 위험 회피 전략으로 금과 국채 같은 안전 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고 있습니다. 금 가격은 역사적 최고치에 근접했고, 국채 수익률도 상승 중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 단기적 변동성 증가:
시장은 향후 몇 주간 높은 변동성을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각국의 보복 관세 여부와 협상 진행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충격이 예상됩니다.
- 장기적 영향:
글로벌 공급망 변화와 무역 구조 재편 가능성.
미국 기업들의 비용 증가로 인해 소비자 가격 상승 및 경쟁력 약화 우려.
투자자들은 현재 상황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뉴스
Trump Announces Reciprocal Tariff Rates—54% For China, 20% On EU (Live Updates)
Few details of the announcement were known prior, creating anxiety among the business community and global leaders.
www.forbes.com
ForexLive Asia-Pacific FX news wrap: Trump reciprocal tariff announcement hits | Forexlive
Forex news for Asian trading on Thursday, April 3, 2025
www.forexlive.com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7일 경기침체 우려 증시 하락 외 오늘의 뉴스 (0) | 2025.04.07 |
---|---|
2025년 4월 4일 뉴욕 증시 폭락 외 오늘의 뉴스 (1) | 2025.04.04 |
2025년 4월 2일 상호 관세 발표 관련 오늘의 뉴스 (2) | 2025.04.02 |
2025년 4월 1일 상호 관세 발표 전 증시 상황 외 오늘의 뉴스 (0) | 2025.04.01 |
2025년 3월 31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증시 하락 외 오늘의 뉴스 (0) | 2025.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