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6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99%↓ S&P500 1.78%↓ 나스닥 2.61%↓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50bp 상승한 4.283%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소폭 강세. 달러인덱스는 104.186으로 전장보다 0.112포인트(0.107%) 하락. 지난해 11월 6일 이후 최저치
시황요약
- 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는 급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산 수입품 중 상당수에 25%의 관세를 약 한 달간 유예하기로 공식 결정했으나 투자심리는 오히려 악화. 관세가 유예되더라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이라는불안감 때문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동조하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공개 석상에서 비하한 것도 부정적
- 주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도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더욱 우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경제 성장도 지속되지만 이에 대한 위협이 존재한다"며 "소비자와기업 모두에서 자신감이 약해지기 시작하고 있다"고 평가. 다만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이날 공개 발언에서 "올해 2회 금리인하 예측에 틀린 것은 없다"며 "통화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다" 고 인하 가능성 시사
- 업종별로는 에너지 제외 모든 업종 하락. 대형 기술주 주가도 하락. 엔비디아는 5.74% 떨어지며 시가총액이 2조7천억달러 하회. 테슬라도 5.61% 떨어지며 7주 연속 하락세.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도 4% 안팎 하락.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1% 안팎의 하락률
- 국채가격은 혼조세. 단기물은 오르고 장기물은 하락.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 인하 일시 중단 가능성에 독일 국채 금리가 오르면서 미 국채에도 영향. 다만, 증시가 관세 불확실성에 급락하면서 장 후반으로 갈수록 국채 강세 압력
- 달러화 가치는 나흘째 급락. ECB 금리 인하 중단 가능성 속에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유예한 영향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 "미국ㆍ멕시코ㆍ캐나다 협정(USMCA)에 해당하는 모든 것에 대해 관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데 동의했다"고 언급.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 소셜에서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그는 "셰인바움 대통령에 대한 배려이자 존경심에 그렇게 했다"면서 "우리의 관계는 매우 좋았고, 우리는 국경에서 불법 외국인의 미국 입국을막고, 마찬가지로 펜타닐을 막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강조
- 미국 상무부는 6일 미국의 1월 무역수지 적자가 1천314억달러로 전달보다 333억달러(34.0%) 증가했다고 발표. 적자 규모는 역대 최대이며, 증가 폭으로는 지난 2015년 3월(43.7%) 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높아. 수입액은 4천12억달러로 10.0% 증가. 역대 최대 규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조치를 앞두고 급증한 것으로 분석. 수출액은 2천698억달러로 1.2% 증가
- 패트릭 하커 미국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미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양호해 보이지만 곳곳에서 위협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며 극도로 불확실한 시기라고 언급. 그는 "실업률은 여전히 낮고 경제 성장도 지속되지만 이에 대한 위협이 존재한다"며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서 자신감이 약해지기 시작하고 있다"고 평가
- 국제유가는 트럼프 관세 한달 유예 소식과 미국 정부가 이란을 겨냥한 제재 면제를 전면 재검토한다는 소식에 상승하는 모습
- 천연가스 선물은 기록적인 생산량과 지난주 저장량이 예상보다 적었다는 연방 보고서로 인해 3%가량 하락함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제조업체에 일시적인 관세 면제를 허용한 후 구리 가격은 3주만에 최고 수준으로 상승폭을 확대하였으나 이번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나온 뉴스를 투자자들이 소화한 후 산업용 금속의 상승세는 제한됨. 전인대는 더 많은 재정 부양책을 약속하고 소비자 지출을 늘리는데 중점을 두었지만, 가계 수요를 늘리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는 발표되지 않았음
- 멕시코산 제품에 부과했던 고율 관세를 일시적으로 면제하면서 옥수수와 대두가 상승한데 이어 밀 선물이 상승세를 마감
3월 7일 (금) 주요일정
경제지표
19:00 유로존 GDP, 4분기 취업자수
22:30 미국 비농업 취업자수, 실업률
01:00 연준 통화정책보고서
02:30 연준 파월의장 연설
03:00 미국 베이커휴즈 총시추기수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1일 (2) | 2025.03.11 |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0일 (0) | 2025.03.10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6일 (1) | 2025.03.06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4일 (1) | 2025.03.04 |
[장시작 소식] 2025년 2월 27일 (1)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