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0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2.08%↓ S&P500 2.70%↓ 나스닥 4.00%↓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0.50bp 하락한 4.214%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강세. 달러인덱스는 103.941로 전장보다 0.137포인트(0.132%) 상승
시황요약
- 뉴욕증시에서 3대 주가지수는 급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강행하며 미국 경기 침체도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시장 자체를 투매하는 움직임
- 나스닥은 작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1만8천선 붕괴. 나스닥의 하루 낙폭이 4% 이상인 경우는 지난 2022년 9월 13일의 -5.16% 이후 처음. 트럼프는 지난 9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올해 경기침체를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우리가 하는 일은 미국에 부를 다시 가져오는 과정" 이라며 "일정한 과도기적 시기가 필요하다"고 언급
- 골드만삭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 정책이 예상보다 강경하다며 물가 상승과 금융 여건의 위축 위험을 고려해 미국 경제 성장 전망치를 기존 2.4%에서 1.7%로 대폭 하향
- 시장 약세 분위기 속에 기술과 통신서비스, 임의소비재, 금융 업종의 낙폭이 특히 확대. 기술이 4.34% 폭락했고 통신서비스와 임의소비재도 3% 이상 급락. 금융과 소재도 2% 넘게 떨어져. 반면, 경기방어주 성격의 유틸리티는 1% 이상 올랐고 에너지도 1% 가까이 상승
- 테슬라는 15.43% 폭락하며 약 5년래 최악의 일일 낙폭을 기록. 테슬라는 이날 하락으로 작년 11월 5일 미국 대선 이후 기록한 상승분도모조리 반납. 애플과 엔비디아, 메타플랫폼스, 알파벳도 5% 안팎으로 떨어졌으며 마이크로소프트와 아마존닷컴도 3% 안팎의 하락률을 기록
- 국채가격은 모든 구간에서 크게 상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기 위해 경기침체도 감수하겠다는 뜻을내비친 여파에 안전선호 심리가 고조. 금리 선물시장에선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오는 5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다시 부상
- 달러화 가치는 6거래일 만에 반등. 트럼프 대통령의 침체 용인 입장에 위험 회피 분위기. 달러인덱스(DXY)는 104선 턱밑까지 상승
- 비트코인 가격이 개당 7만8천 달러선으로 급락. 트럼프 대통령의 암호화폐 전략이 투자자 기대에 못 미쳤기 때문으로 풀이됨
-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지난 2월 소비자기대 설문(SCE)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재정 상황이 다소 또는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의비율은 27.4%로 집계. 지난 2023년 11월(28.7%)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 또 향후 3개월 동안 최소 부채 상환을 못 할 가능성에 대한 평균 인식은 14.6%로 집계. 지난 2020년 4월 이후 최고치. 고용시장에 대해서도 비관적. 이들은 내년에 직장을 그만둘 확률은 17.6%로 지난 2023년 7월 이후 가장 낮아. 재취업에 대한 자신감이 하락한 것
- 국제유가는 트럼프發 경기 둔화 우려 등에 하락하는 모습. 한편, OPEC+는 오는 4월부터 예정대로 원유 생산을확대할 계획인 가운데, 알렉산드르 노박 러이사 부총리는 지난 7일(현지시간) "시장 불균형이 발생하면 증산 결정을 철회할 수 있다"고 밝힘
- 금 가격이 2거래일 연속 하락.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증폭되며 미국 경기 침체 위기감이 금융시장을 덮쳐 증시가 폭락하자 위험자산, 안전자산 불문하고 팔아 현금을 확보하려는 흐름이 연출됨.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중단한 사이 러시아가 지난해 우크라이나의 기습침공으로 빼앗겼던 쿠르스크 지역 탈환 작전에 나서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고조됐으나 차익실현 매물이 안전자산 수요를 앞질렀음
- 구리 가격은 시장이 미국의 수입 관세로 인해 세계 경제 성장과 산업용 금속 수요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에 초점을 맞추면서 하락
- 옥수수 선물은 주요 글로벌 수급 보고서를 앞두고 시장 참여자들이 포지션을 조정하면서 상승세를 보임
- 밀 선물은 러시아가 밀 수확량 추정치를 낮춘 후 2월 28일 이후 가장 활발하게 거래된 계약이 최고가를 기록하는 등 강세를 보임
3월 11일 (화) 주요일정
경제지표
21:55 미국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23:00 미국 1월 JOLTS 구인인원
01:00 미국 EIA 단기 에너지전망보고서, USDA 세계 농산물수급 전망보고서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3일 (1) | 2025.03.13 |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2일 (2) | 2025.03.12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10일 (0) | 2025.03.10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7일 (0) | 2025.03.07 |
[장시작 소식] 2025년 3월 6일 (1)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