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0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2.50%↓ S&P500 3.46%↓ 나스닥 4.31%↓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20bp 하락한 4.394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100.942로 전장보다 2.204포인트(2.137%) 급락

시황요약
뉴욕증시, 상호관세 유예 효과 하루 만에 소멸하며 급락
-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발표로 투자심리 악화
- 백악관이 대중 관세율을 145%로 발표하면서 투자심리가 급랭, 뉴욕증시 전반에 강한 하방 압력을 가함.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 하락에도 경기침체 우려 지속
- 미국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1% 하락하며 시장 예상치(0.1% 상승)를 밑돌았음에도, 관세발 경기침체 우려로 주가 상승 동력 상실. 기술주 중심 나스닥은 4%대 급락, S&P500과 다우존스도 각각 약 3% 하락.
- '매그니피센트7' 기술주 시총 붕괴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기술주가 급락하며 시가총액이 큰 폭으로 감소. 반면 월마트, 유나이티드헬스, 코카콜라 등 필수소비재주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임.
국채·외환시장 동향
- 국채 금리 혼조세
장기물 국채는 30년물 입찰 호조에도 약세 전환하며 금리가 상승했고, 단기물은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강화로 급등. 결과적으로 장단기 금리차는 확대됨.
- 달러화 약세 지속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급락하며 달러인덱스가 2023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 스위스프랑은 달러 대비 10년래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유로와 엔화도 강세를 보임.
백악관 및 주요 인사 발언
- 백악관의 대중 관세 발표
백악관은 중국에 대한 관세가 최소 145%에 달한다고 발표. 기존 팬타닐 관련 관세(20%)에 더해 상호관세(125%)가 적용된 수치로, 오는 5월부터는 중국·홍콩에서 들어오는 소액 소포에도 120% 관세 부과 예정.
- 트럼프 대통령 발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무역 협상이 양국 모두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시진핑 주석에 대한 존중을 표명.
- 재닛 옐런 전 재무부 장관 의견
옐런 전 장관은 최근 국채 투매와 관련하여 "상호관세 유예가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
기타 경제 지표 및 원자재 시장
- 소비자물가지수(CPI) '깜짝' 하락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3월 CPI는 전달 대비 0.1% 하락하며 약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 이는 시장 전망치(0.1% 상승)를 크게 밑도는 수치.
- 국제유가 및 천연가스 선물 하락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원유 수요 감소 우려가 커지며 국제유가는 하락세를 보임. 천연가스 선물도 주간 저장량 증가와 혼조된 날씨 전망으로 약 4% 하락.
- 미국산 밀 가격 하락
USDA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산 밀 생산량이 예상치를 초과하며 가격이 하락 마감.
4월 11일 (금) 주요일정
경제지표
15:00 독일 3월 CPI 상승률, 영국 2월 산업생산, 영국 2월 GDP
21:30 미국 3월 PPI 상승률
23:00 미국 4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02:00 미국 베이커퓨즈 총시추기수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15일 / 관세 완화 기대감 / 오늘의 뉴스 (0) | 2025.04.15 |
---|---|
2025년 4월 14일 / 반도체 관세와 증시 반등 / 오늘의 뉴스 (0) | 2025.04.14 |
2025년 4월 10일 나스닥 폭등 외 오늘의 뉴스 (1) | 2025.04.10 |
2025년 4월 9일 트럼프 대중 관세 외 오늘의 뉴스 (2) | 2025.04.09 |
2025년 4월 8일 트럼프 관세 발언 외 오늘의 뉴스 (0) | 2025.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