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4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78%↑ S&P500 0.79%↑ 나스닥 0.64%↑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12.60bp 급락한 4.3650%
- 달러화 : 엔화에 약세, 유로화에 약세, 달러인덱스는 99.660으로 전장 대비 0.255포인트(0.255%) 하락
시황요약
뉴욕 금융시장 동향: 3대 주가지수 2거래일 연속 상승, 관세 완화 기대감에 기술주 강세
- 뉴욕 증시의 3대 주요 주가지수(다우존스, S&P500, 나스닥)는 2거래일 연속 동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대중(對中) 상호관세를 면제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애플 등 대형 기술주가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엘살바도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자동차 기업을 지원할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캐나다와 멕시코 등에서 생산된 부품을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국채·외환시장 동향
- 국채 시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고,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 이사의 비둘기파적 발언이 더해지면서 국채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다만, 최근 장기채 투매로 인한 불안감과 트럼프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미국 자산의 매력이 다소 약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 달러화는 3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기업에 대한 관세 완화를 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달러인덱스(DXY)는 주요 6개 통화 대비 99대 중반까지 하락했습니다.
주요 뉴스 및 원자재 시장
- 미국 상무부는 14일, 반도체 및 반도체 제조장비(SME)와 그 파생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사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것으로,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의약품 역시 같은 법에 따라 조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높게 유지되더라도 인플레이션 영향은 일시적일 것으로 전망하며,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침체 위험 대응에 더 집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 국제유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자제품 관세 면제 발표로 위험 선호 심리가 강화되며 상승세를 보였으나, OPEC이 올해 원유 수요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상승폭은 제한됐습니다. OPEC은 올해와 내년 원유 수요 증가폭을 기존보다 하루 15만 배럴 줄인 130만 배럴로 전망했습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남은 기간 WTI와 브렌트유 가격이 각각 배럴당 59달러, 63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미국과 이란은 19일 오만에서 핵 협상을 재개할 예정입니다.
- 미국의 일부 관세 면제와 중국의 추가 경기부양 기대감에 구리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 천연가스 선물은 기록적인 생산량과 수요 감소 전망으로 약 6% 하락했습니다.
- 옥수수 선물은 차익실현과 기술적 매도로 7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 밀 선물 역시 미국 평원 지역의 강우 예보와 유럽 밀 시장 약세 영향으로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습니다.
4월 15일 (화) 주요일정
경제지표
15:00 영국 2월 실업률, 3월 실업수당청구건수
18:00 독일 4월 ZEW 경기전망지수, 유로존 2월 산업생산
21:30 미국 4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21:55 미국 존슨레드북 소매판매지수
'재테크이야기 > 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17일 / 뉴욕 증시 엔비디아 · 반도체주 폭락 / 오늘의 뉴스 (2) | 2025.04.17 |
---|---|
2025년 4월 16일 / 트럼프, 미·중 무역협상 관망 / 오늘의 뉴스 (0) | 2025.04.16 |
2025년 4월 14일 / 반도체 관세와 증시 반등 / 오늘의 뉴스 (0) | 2025.04.14 |
2025년 4월 11일 / 하루만에 급락한 미국 증시 / 오늘의 뉴스 (0) | 2025.04.11 |
2025년 4월 10일 나스닥 폭등 외 오늘의 뉴스 (2) | 2025.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