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이야기/경제 및 투자 관련 뉴스

3대 지수 동반 하락…무역 불확실성과 차익 실현 영향 / 오늘의 뉴스

by 파라크래프트 2025. 5. 21.

5월 20일(현지시간, 우리나라시간 기준 어제밤)

- 뉴욕증시 : 다우 0.27%↓ S&P500 0.39%↓ 나스닥 0.38%↓

- 미 국채 10년물 금리 : 전 거래일 오후 3시 기준가보다 0.50bp 오른 4.4810%

- 달러화 : 엔화 및 유로화에 약세. 달러 지수는 전장보다 0.325% 하락한 100.053

 

 

 

시황요약

3대 지수 동반 하락…무역 불확실성과 차익 실현 영향

 

2025년 5월 20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주가지수는 지난 6일 이후 처음으로 동반 하락했습니다. 뚜렷한 경제 지표나 주요 이벤트가 부재한 가운데, 미국 재정 적자에 대한 우려와 글로벌 무역 협상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를 짓눌렀고, 이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됐습니다.

무역 협상 불확실성 지속…투자자 심리는 ‘조심스러움’

- 미국은 아시아 주요 교역국인 한국, 일본, 인도 등과의 관세 협상이 빠르게 타결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높였지만, 실제로는 영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와의 협상이 교착 상태입니다.
-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의 빌 노시 투자이사는 “현재 다수의 협상이 진행 중이나, 명확한 결과가 없어 투자자들이 낙관론에 갇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카슨 그룹의 라이언 디트릭 수석 시장 전략가 역시 “S&P500지수가 최근 27거래일 동안 약 20% 상승했지만, 이는 기술적 반등보다는 과열에 따른 조정의 성격이 짙다”고 평가했습니다.

연준 인사들, 인플레이션과 무역 정책에 우려 표명

- 연방준비제도(Fed) 고위 인사들은 무역정책이 미국의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습니다.
-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압력 속에 가격 안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지금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계속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관세 부과 전 전략들이 효과를 보지 못하면, 곧 물가에 충격이 올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종목 및 업종 흐름

- 테슬라: +0.51% 상승
- 디웨이브 퀀텀: +26% 급등
- 엔비디아: -0.88% 하락
- 업종별 흐름: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유틸리티를 제외한 모든 업종 하락

채권·외환시장 동향

- 미국 국채 금리는 장기물 약세 흐름 속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일본 JGB 금리 급등과 캐나다 CPI 발표 이후 캐나다 국채 금리 상승이 미국 장기물 금리에 영향을 미침.
- 달러화 가치는 2거래일 연속 하락, 미국의 재정적자 우려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미·일 통상 협상 주목…G7 회의 일정도 변수

-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자동차 등 핵심 품목에 대해 기존의 관세 철폐 요구에서 일부 관세 인하 수용으로 입장을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G7 재무장관 회의(5/22까지 개최)에서 일본 재무상과 환율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며, 씨티그룹은 “관세 협상 일환으로 통화 절상 요구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일본뿐 아니라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지정학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교착 상태

- 우크라이나는 정상회담을 원하고, 러시아는 조건문서 요구 등으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낙관론을 주장하고 있으나, 푸틴 대통령의 태도 변화는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국제유가, 이란 핵 협상 불확실성에 하락

이란 핵 협상의 재개 가능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 지연으로 국제유가는 방향성 없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이란이 협상 재개를 검토 중이며, 미국 제재 완화 시 하루 30만~40만 배럴 원유 수출 확대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상품시장: 금값 상승, 천연가스·곡물 가격도 강세

- 국제 금 가격: 달러 약세, 지정학적 리스크에 1% 이상 상승
- 천연가스 선물: 생산량 감소, 다음 주 수요 증가 전망 등으로 약 10% 급등
- 밀 선물: 5년 만의 최저치 이후 달러 약세와 미국 작황 등급 하락으로 숏커버링 발생, 중국 허난성 중심의 건조한 날씨로 작물 피해 우려
- 옥수수 선물: 밀 가격 상승에 동조해 상승 마감

이번 하락은 단기적인 차익 실현과 불확실성에 대한 방어적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관세 협상과 지정학 리스크, 그리고 미국 경제 지표와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이 향후 시장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월 21일 (수) 주요일정

경제지표

15:00 영국 4월 CPI상승률

23:30 미국 EIA 원유재고

02:00 미국 국채 20년물 발행금리 

 

 

 

728x90
반응형

댓글